Page 83 - ele_science_6-1_tutor
P. 83

변인 통제 지도 방법                                      •실험이 공정한가?
                   학생들이 변인 통제의 뜻을 이해하고, 이를 실험에
                                                                          콩나물 A                 콩나물 B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까닭은 변인 통제 시 요
                                                                      햇빛이 비치는 창가          햇빛이 비치지 않는 사물함
                 구되는 사항이 복잡하며 학생들의 경험이 많이 필요하                                                                      1
                 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  공정하지 않다. 창가와 사물함은 햇빛의 양만 다르지                  단원
                 효과적으로 변인 통제를 할 수 있게 지도한다.                          않을 것이다.

                 • 실험 목적 분명하게 하기: 실험에서 원인, 결과, 변화                 -  같은 장소에 두고 햇빛 가리개를 씌워야 공정하다.
                   시켜야 할 것이 명확하게 드러나게 한다.
                 • 조작 변인(원인), 종속변인(결과), 통제 변인을 파악                 양초의 기원
                   하여 표로 정리하기: 새로운 실험 상황에서 자신이                      촛불의 영어명인 ‘candle’은 라틴어 ‘candera’에서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왔는데, 이는 ‘빛이 어른거리다.’라는 뜻이다. 초에 대
                 • ‘공정한 검사’ 개념 상기하기: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                  한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 밀랍
                   황을 제시하고 실험 조건이 공정한지 질문해 본다.                    을 이용해 초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우리가
                   학생들이 설계한 실험의 변인 통제가 제대로 되어 있                   사용하는 양초는 대부분 파라핀으로 만든다.
                   는지 공정한 검사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출처: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양초 심지의 종류
                 변인 통제 활동 예시                                      • 실 심지: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것은 파라핀을 먹인
                 ① 관련 단원: 『과학』 5학년 2학기 ‘2. 생물과 환경’                  면실이다. 굵기에 따라 양초가 타는 속도가 다르다.

                 ②  성취 기준: 비생물 환경 요인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                  • 나무 심지: 얇은 나무판 두 겹 사이에 양초를 넣고 굳
                   을 이해하여 환경과 생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혀 만든 심지이다. 불을 붙이면 나무판 두 겹 사이의
                   있다.                                              공간을 따라 액체 양초가 올라가서 기화하고 불탄다.

                 ③  변인 통제: 햇빛이 콩나물의 자람에 미치는 영향 알아                 • 종이 심지: 실 심지에 가느다란 튜브 형태의 종이관
                   보기                                               을 끼워 양초가 기화하는 양을 늘린 심지이다.
                 •콩나물이 자라는 데 햇빛이 필요하다.
                                                                  촛불의 구조
                         원인           햇빛
                                                                    촛불은 바깥에서부터 겉불꽃, 속                     겉불꽃
                         결과           콩나물이 잘 자란다.
                                                                  불꽃, 불꽃심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속불꽃
                     변화시켜야 할 것        햇빛의 양
                                                                  있다.
                                                                                                          불꽃심
                 • 조작 변인, 통제 변인, 종속변인을 파악하여 표로 나타                 • 겉불꽃: 촛불의 가장 바깥 부분으
                   내기                                               로 색이 옅어 잘 보이지 않는다.                 액체 상태의

                                                                    산소와 접촉이 활발해 완전 연소                  양초(촛농)
                    다르게 해야 할 조건
                                      햇빛의 양
                       (조작 변인)                                      가 일어난다. 가장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약 900`*C
                                      콩나물의 길이, 콩나물의 굵기,              ̄1400`*C이다.
                     같게 해야 할 조건       콩나물의 양, 물을 주는 횟수, 물         • 속불꽃: 촛불의 중간 부분으로 가장 밝게 빛난다.
                       (통제 변인)        을 주는 양, 페트병의 크기, 탈지           산소와 접촉이 어려워 그을음이 생긴다. 온도는 약
                                      면의 양, 두는 장소                   500`*C ̄1200`*C이다.
                                      콩나물의 자람(줄기의 굵기와             • 불꽃심: 촛불의 가장 안쪽 부분으로 가장 어둡게 보
                       관찰하거나
                                      길이와 색깔, 잎의 개수와 크기             이며 연소가 잘 되지 않는다. 가장 온도가 낮은 부분
                      측정해야 할 것
                                      와 색깔, 뿌리의 굵기와 길이와
                       (종속변인)                                       으로 약 300`*C ̄900`*C이다.
                                      잔뿌리 개수 등)
                                                                                (출처: 가켄 플러스(이보형 외 2`명 옮김), 2021)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81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