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ele_science_6-2_teacher
P. 98

과학  기술
                          공학
                                   우리 몸의 기관을 대신하는 인공 기관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몸의 기관이 크게 손상돼 일을 제대로 하지 못

                                   하는 사람에게 인공 기관을 이식해 삶의 질을 높여 주기도 합니다. 인공

                                   심장은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심장의 펌프 작용을 돕거나 대신해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킵니다. 사고 등으로 몸의 일부를 잃은 사람은

                                   인공 손이나 인공 다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요즘에는 첨단 기술이 발달하여 물체를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를 이용해 인공 손과 같은 인공 기관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활용 방법
                                                      • 인공 기관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소재는 아니지만, 이 단원
                                                       에서 학습한 우리 몸의 기관이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손상돼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공 기관이 대신할 수 있음을 소개해 흥미를 유발
                                                       한다. 또, 이를 통해 과학 기술이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  3D프린터를 이용해 인공 기관을 만들면 어떤 점이 좋을지 생각해 보는 과정에서
                                                       과학 기술의 발전이 우리 생활을 보다 나아지게 만들어 준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인공 심장




                                                                        보충   3D 프린팅
                                                                        종이에 글자를 인쇄하는 기존 프린터와 비슷한 방식
                                                                        으로 입체 모형을 만드는 기술이라고 하여 3D 프린팅
                                                                        이라고 부른다. 일반 프린터는 잉크를 사용해 문서,
                                                                        그림 파일 등과 같은 2D 자료를 인쇄하지만 3D
                                                                        프린터는 3D 물체를 컴퓨터로 디자인해 재료를 쌓는
                                                                        방식으로 3D 모형을 인쇄한다. 3D프린터는 대량
                                                                        생산보다는 다양한 품종을 소량으로 생산하는 것에
                                                                        적합하며, 주로 플라스틱, 고무, 금속, 나무, 종이 등의
                                                                        원료를 가공하기 쉽게 변형해 사용한다. 현재 3D
                              3D프린터를 이용해 만든 인공 손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프린터는 공학, 의학, 건축, 예술 등과 같은 여러 분야
            •  [과학적 사고력] 3D프린터를 이용해 원하는 모양으로
                                                                        에서 활용되고 있다.
              인공 기관을 만들었을 때의 장점을 생각해 보게 한다.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과학 기술의 발전이
              우리 생활을 보다 나아지게 함을 알게 한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인공 다리로
            3D프린터를 이용해 인공 기관을 원하는 모양으로                                   걷는 사람

           만들면 어떤 점이 좋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지도 방향] 3D프린터를 이용해 인공 기관을 만들면 우리 몸의 기관을 어떻게 대신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98         예시 답안  환자의 신체에 정확하게 맞는 인공 기관을 만들 수 있다.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