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4 - ele_society_5-1_tutor
P. 264
18~19 차시
교과서 138~139 쪽
1 법이란 무엇일까요 사람들이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행동 기준으로서 국가가 만든 강
제성이 있는 규범을 법이라고 한다. 강제성이 있다는 것은 지키지 않
았을 때 국가로부터 제재를 받는다는 뜻으로, 사람들이 양심에 따라 제재 일정한 규칙이나 관습의
위반에 대하여 제한하거나 금
자율적으로 지키는 도덕과 구별된다. 지함.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 가족을 이루고, 사회를 이루고, 국가 법은 사회의 변화에 맞지 않거나 그 내용이 인권을 침해한다고 판단
를 이루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간다. 이 과정에서 저마다 생각이 되면, 바뀌거나 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르고 원하는 것도 다르기 때문에 갈등과 분쟁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려면 서로 지켜야 할 약속이나 규칙이 필요한
데, 이를 사회 규범이라고 한다.
도덕은 사람들이 양심에 따라 버스 요금을 안 내고 타면
너무 시끄럽잖아. 자는 척해야지. 스스로 지키는 거예요. 벌금을 내야 해요.
네, 지금 요금
낼게요.
하하!
도덕은 지키지 않아도 처벌을 받지는 않지만,
지갑을 몰래 훔쳐도 여럿이 사는 사회에서는 꼭 필요해요.
모르겠지? 법은 사람들이 다 함께 지키기로
정한 규범이에요.
법을 지키지 않으면
처벌을 받아요.
138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3. 법의 의미와 역할 139
139
138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사례를 통해 법의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수업의 흐름 • 버스에서 지켜야 할 규칙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도입 버스에서 지켜야 할 규칙 이야기하기 – 노인, 임산부 등에게 자리를 양보합니다.
– 버스 안에서 시끄럽게 떠들지 않습니다.
➊ 법의 뜻 알아보기
➋ 법과 도덕 구분하기 – 버스에 타거나 버스에서 내릴 때 차례를 지킵니다.
전개
➌ 탐구해요 법이 적용되는 사례 – 버스에 탈 때는 버스 요금을 냅니다.
➍ 별별 이야기 이래도 막을 건가요?
• 버스에서 시끄럽게 떠들거나 버스 요금을 내지 않고 버스
• 법의 뜻과 특징 정리하기 를 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정리
• 법과 도덕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하기
– 버스에 함께 탄 다른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낄 것 같
습니다.
– 버스 회사에서 버스를 운영하지 못하게 될 것 같습
니다.
•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서로 지켜야 할 약속이나
규칙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사회 규범이라고 합니다.
262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