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ele_society_5-2_teacher
P. 64
수업 PPT 수업 목표
DVD
19~20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을 설명할 수 있다.
2 대에 이룬 문화 발전의
•훈민정음 창제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26차시
모습을 알아볼까요 보충 설명 측우기 발명
측우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빗물이 땅속에 스며든 깊이
를 가늠하는 방식으로 강우량을 측정하였는데, 측우기
의 발명으로 실제 강우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
었습니다.
과학 기구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
조선은 세종 대에 이르러 과학 기술과 문화
등 여러 부분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세종은
유능한 인재를 모아 체계적으로 학문을 연구
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확대 운영하였다.
세종은 백성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농업을 장려하고, 다양한 과학 기구를 만들 측우기(국립고궁박물관)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 기구로, 궁궐과
었다. 또한 이전보다 정교해진 금속 활자를
각 지역에 설치하였다.
활용하여 많은 책을 펴내 각종 지식을 보급
측우기를 왜 궁궐과 각 지역에 설치하여
하는 데 힘썼다.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였을까요?
도움 영상 세종 대왕의 업적 예시 답안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문화 발달과 과학 기술 발전에 지역마다 비가 오는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힘쓴 세종 대왕의 업적을 소개한 영상입니다.
서적 편찬
집현전 조선 전기에 학문을
연구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
도서의 수집과 보관, 학문 연
구, 왕의 자문 역할을 담당함.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세종 대 문화유산 찾기
• 짝과 함께 단어 찾기 놀이를 하면서 ‘세종 대에 이룬 과학과
문화의 발전’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교과서에 수록된 문화유산 외에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게
합니다.
『농사직설』(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사짓는 방법을
소개한 책이다.
풍토 기후와 토지의 상태.
64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