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ele_society_5-2_teacher
P. 66
내용 ➋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 ➌ 훈민정음 보급과 이용
정리 • 한자가 우리말과 달라 글을 읽지 못하는 백성이 많음. • 관리와 사대부 집안의 여성에게 배우도록 함.
• 백성이 글자를 몰라 생활 속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억울한 • 『용비어천가』를 지어 조선의 건국을 찬양함.
일을 당하기도 함. • 『삼강행실도』를 펴내 유교의 가르침을 널리 알림.
한글을 만들기 전과 만든 후에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조선에는 한자가 우리말과 달라서 글을 달라진 백성의 생활 모습
읽지 못하는 백성이 많았다. 세종은 백성이
글자를 몰라 생활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거나 백성이 한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큰 어려움을 겪고 있구나.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문자를 만들어야겠다.
읽고 쓰기 편리하고, 대부분의 소리를 표현
할 수 있는 독창적인 문자였다.
세종은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관리와 사대부 집안의 여성에게도 배우도록
하였다. 또한 『용비어천가』를 지어 조선의
건국을 찬양하였다. 이후 훈민정음으로 『삼강
행실도』와 같은 책을 펴내 유교의 가르침을
일반 백성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도 힘썼다.
『삼강행실도』 중국과 우리나라의 충신과 효자, 열녀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담았으며, 성종 때에 한글로 뜻을 풀어 썼다.
도움 영상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문자, 훈민정음
훈민정음 28자는 모든 소리와 정확한 외국어 발음의 표기
가 가능한 완벽한 글자였음을 보여 주는 영상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국립
중앙박물관)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을 기록한 책
이다. 보충 설명 훈민정음 해례본
성삼문과 박팽년 등 한글 창제에 참여한 집현전 학
사들이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원리와 용법
을 상세하게 설명한 책입니다. 이를 통해 한글의 창
제 원리, 즉 우리 언어가 인체의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용비어천가』(서울역사박
물관) 훈민정음으로 지은
첫 번째 책이다. 조선 왕조
의 건국이 하늘의 뜻이었
음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
위의 상황 외에 달라진 모습에는 어떤 것이
고 있다.
있을까요?
예시 답안
• 자신의 억울한 사정을 글로 적어 관청이나 관리에게 전할 수 있었습니다.
66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 일반 백성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글로 표현한 소설이나 시 등의 작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