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ele_society_5-2_tutor
P. 136
1~2 차시
교과서 16~17 쪽
고려 후기 일연 스님이 쓴 역사책인 『삼국유사』에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가 건국 신화의 형태로 실려 전해 내려오고 있다. 건국 신화를 보면
그 당시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다음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자. 3 어느 날, 곰과 호랑이가 환웅을 찾아와
고조선의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빌었다. 환웅은 4 곰은 이를 잘 지켜 여자로 변해 웅녀가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고 쑥과 마늘을 되었다. 웅녀는 환웅과 결혼해 아들을
건국 이야기로 먹으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1 옛날에 환인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에 관심을 낳았고, 그 아들이 나중에 단군왕검이
무엇을 두었다. 환인이 아들의 뜻을 알고 태백산 지역을 되었다. 단군왕검은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내려다보니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하 나라 이름을 (고)조선이라고 하였다.
알 수 있나요? 였다.
조선 시대의 역사책인
『동국통감』에 따르면, 기원전
2333년에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해.
환웅은 무리 삼천 명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인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것은 고조선의 지배층이 스스로를 단군왕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신단수에 내려와 그곳을 신시라고 불렀다. 환웅은 사람을 뜻하는 ‘단군’과 정치
건국 신화 국가의 기원을 신성 바람, 비, 구름을 다스리는 신하를 거느리고 인간 하늘의 자손으로 내세웠음을 나타낸다. 환웅이 바람, 비, 구름을 다스 지배자를 뜻하는 ‘왕검’이 합쳐
하게 설명하는 이야기. 진 말.
2 세상을 다스렸다. 리는 신하를 거느리고 인간 세상을 다스렸다는 것은 고조선이 농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음을 나타낸다. 또 사람으로 변한 곰이 환웅과 결혼
했다는 것은 곰을 섬기는 부족이 하늘의 자손임을 내세우는 환웅 부족과
함께 고조선을 건국하였음을 나타낸다.
16 16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17 17
➎ 궁금해요 _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교과서 16~17쪽에 있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읽어 봅시
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 고려 후기 일연 스님이 쓴 『삼국유사』에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가 건국 신화의 형태로 실려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 – 고조선의 지배층이 스스로를 하늘의 자손이라고 내
다. 건국 신화란 무엇일까요? 세우기 위해서입니다.
– 누가 어떻게 나라를 세웠는지를 신비롭고 신성하게 – 환인의 아들이 환웅이고, 환웅의 아들이 단군왕검
설명한 이야기입니다. 이므로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이 신성한 나라라는
• 건국 신화는 실제 있었던 사실일까요? 사실인 것처럼 지 점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어 낸 이야기일까요? • 환웅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올 때 바람, 비, 구름을 다스리
– 나라를 세우는 과정을 멋지게 보이기 위해 지어 낸 는 신하를 데리고 온 까닭은 무엇일까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 바람, 비, 구름을 다스리는 신하들은 날씨 변화에
– 신비롭고 신성하게 보이기 위해 지어 낸 이야기이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만, 그 당시의 사회 모습을 바탕으로 지어 냈다고 생 – 바람, 비, 구름은 사람들이 농사를 짓는 데 꼭 필요
각합니다.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신화는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 환웅이 바람, 비, 구름을 다스리는 신하를 데리고 왔다는 이
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부 꾸며 낸 이야기도 아님을 설명한다. 야기를 통해 알 수 있는 고조선의 사회 모습은 무엇인가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가 비록 비현실적인 상황과 표현들로 꾸며
– 고조선 사람들이 농사짓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였
져 있지만, 건국 무렵의 사회 모습과 역사적인 사실들이 함축적
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파악하게 한다. 다음 차시에 공부할 삼국 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의 건국 신화를 조사하여 비교해 볼 수도 있다. – 고조선 사람들이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였음을 알 수
134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