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ele_society_5-2_tutor
P. 133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1

                   이 단원에서는 우리 역사상 최초의 나라인 고조선부터                   고조선
                                                                                                                   단원
                 통일 신라까지 긴 역사를 다룬다.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본래 이름은 조선인데, 『삼국유사』에서 기자 조선이나
                 활용하여 역사학자처럼 생각하고, 타당한 근거를 바탕                     위만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고 하였다. 그 뒤
                 으로 내용을 추론하는 경험을 얻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왕운기』에서는 단군 조선을 ‘전 조선’, 기자 조선을 ‘후
                   1차시에서는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중심으로 고조                    조선’이라고 하였다. 오늘날에는 이성계가 세운 조선과

                 선의 건국과 발전 과정을 알아본다. 2~3차시에서는 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국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탐색하며, 4차시에서는 인물을                   단군왕검
                 중심으로 신라의 통일 과정을 알아본다. 5차시에서는 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제사장을 뜻하는 ‘단군’과 정치
                 해의 건국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6~7차시에서는 대                   적 지배를 뜻하는 ‘왕검’을 합친 말이다. 이를 통해 고조
                 표적인 문화유산을 통해 삼국 문화의 특징을 알아보면서                    선은 정치 지도자가 제사도 담당하는 제정일치 사회였음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어떠하였는지 탐색한다.                    을 알 수 있다.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건국(『삼국사기』에 신라는
                  2  중단원 목표                                       기원전 57년에,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세워졌다고 기록됨.)되어 고대 국가의 기틀을 세
                           • 고조선의 등장을 건국 이야기를 중심으로 설명할
                                                                  운 뒤 서로 경쟁하고 때로는 교류하면서 한반도에서 세
                             수 있다.
                           • 나라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활동을 통해 고대 여           력을 다투던 시대를 말한다.
                    지식       러 나라가 성장한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 불국사와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
                             을 통해 고대 사람들이 이룩한 문화의 우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나라의 성립과 발전
                    기능                                               송호정, 『고조선을 왜 비파형 동검의 나라라고 하나
                            과정을 조사하고 정리할 수 있다.
                                                                   요?』, 다섯수레, 2014.
                            고대 사람들이 남긴 우수한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
                  가치·태도                                            -  고조선의 건국부터 생활, 문화 등 고조선에 대한 다
                            기는 마음을 지닐 수 있다.
                                                                     양한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구성한 책이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초등학생을  위한  맨  처음  한국
                                                                   사 1』, 2015.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선사 시대부터 삼국 통
                                                                     일까지의 역사를 다루었다.
                                 고조선의 등장과
                                                                     한국역사교육학회,  『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등  한국
                                건국 이야기 알아보기
                                                                   사 1』, 2019.
                                                                   -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역사를 여
                                 고대 시기 나라의          여러 나라가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성장하는 모습           러 주제로 나누고, 그 주제를 질문과 답으로 재미있
                  등장과 발전
                                    활동 알기           탐색하기
                                                                     게 구성하였다.
                                                                     경주국립박물관(www.gyeongju.museum.go.kr)
                                고대 사람들이 이룩한
                                                                   -  신라의 여러 문화유산을 검색할 수 있다. 전시관 가
                               문화의 우수성 파악하기
                                                                     상 체험을 통해 온라인 체험 학습도 가능하다.


                                                                                                         131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