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2 - ele_society_5-2_tutor
P. 132

교과서  12~13   쪽

                     나라의 등장과                                        여기는 나정이라고 해.
                                                                   아빠가 이곳과 관련된
                                                                                     아주 먼 옛날, 이 지역에는 여섯 개의 마을이
                                                                   신기한 이야기를 해 줄게.
                     발전                                           시후는 사람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있었어.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이 나라를
                                                                    하면 믿을 수 있니?
                                                                                     세우고 왕을 정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있었지.
                                                                                네?
                                                                              사람이 알에서         촌장  한 마을의 우두머리.
                                                                              태어났다고요?
                       고조선 이후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러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문화의 우수성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때 한 촌장이 우물가에서 흰말이 무릎을    얼마 후 알에서 남자아이가 나왔는데, 그
                                                                  꿇고 우는 모습을 보았어. 촌장들이 그곳으로   남자아이가 바로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야.
                                                                  가 보니 흰말은 사라지고 알이 하나가 있었어.
                     시후는 아빠와 함께 경주에 왔습니다. 여러 문화유산을 찾아
                     도장을 찍으며 여행하던 중, 나정이라는 곳에 도착했습니다.





                                  아빠,
                               이곳은 어디예요? 여기는                          사람이                   이런 이야기를 건국 신화라고
                               도장을 찍는 곳이 없네요?                      알에서 태어났다는 게              하는데, 박혁거세뿐만 아니라
                                                                     사실일까요?                다른 나라의 왕들도 알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어. 신화의 내용을
                                                                                            모두 믿을 수는 없지만, 생각해 볼
                                                                                              내용도 있단다.
                           이제 도장 찍는
                            칸이 세 개
                            남았네.                                   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면 옛날 사람들은 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12 12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 나라의 등장과 발전 13 13








            도입 자료 소개                                         는 우리 역사에 등장하는 시조 신화 중에서 가장 많은 형
                                                             태입니다. 고구려를 세운 주몽(동명왕)과 가야의 김수로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나정은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왕도 난생 신화의 주인공입니다.
           의 탄생지로 알려진 우물입니다. 『삼국사기』에는 “어느
                                                              시조의 탄생 및 건국과 관련된 신화는 비록 비현실적
           날 진한 6촌의 하나인 고허촌의 촌장 소벌공이 양산 밑
                                                             이고 믿을 수 없는 상황도 있지만, 그 당시의 사회 모습
           나정 우물 옆에 있는 숲 사이를 바라보니 하늘로부터 이
                                                             과 사람들의 생각이 반영된 함축적인 자료라는 것을 이
           상한 빛이 드리웠고, 그 빛 속에 흰말 한 마리가 무릎을
                                                             해하도록 지도합니다.
           꿇고 절하는 시늉을 한 뒤 울음소리를 길게 뽑고 하늘로

           올라갔다. 흰말이 있던 자리에 알이 하나 있었는데, 사람
           들이 그 알을 이상하게 생각하여 깨 보니 용모가 단정하                              왕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면 옛날 사람들은
                                                                     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고 아름다운 남자아이가 있었다. 이에 6촌 사람들은 그
           아이의 출생이 이상하였던 까닭에 그를 높이 받들어 임                     예시 답안
           금으로 삼았다.”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남자아                    • 왕을 무서워하거나 신비한 존재로 생각하였을 것 같습
           이가 박과 같이 생긴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성을 박씨                     니다.

           로 삼았습니다.                                          • 세상의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갖춘,
             박혁거세와 같이 시조가 알에서 태어났다는 난생 신화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였을 것 같습니다.



           130    각론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