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 ele_society_5-2_tutor
P. 167
교과서 44 쪽
➌ 거란 침입의 극복 과정 살펴보기 1
• 거란이 2차, 3차로 고려를 침입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흥화진 전투 3 과 극복 과정을 단원
– 고려가 계속 송과 관계를 유지하고 거란과 관계를
알아볼까요
회복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습니다.
거란은 3차 침입 당시 10만의 군대를 거느리고 고려에
쳐들어왔다. 고려는 강감찬에게 20만의 군대를 주고 거란군
을 막게 하였다.
• 고려는 거란의 3차 침입을 어떻게 극복하였나요?
몽골의 침략
유목 민족 가축이 먹을 만한
몽골은 중국의 북쪽 지역에 살던 유목 민족이었다. 13세기 초에
– 전쟁을 대비한 덕분에 전투에서 계속 이겼고, 강감
물과 풀밭을 찾아 주기적으로
칭기즈 칸이 부족을 통일하면서 몽골의 세력이 강해졌다. 몽골은 고려에 일정 지역을 이동하면서 사는
민족.
찬이 귀주에서 거란군을 물리쳤습니다.
사신을 보내 많은 물건을 바칠 것을 요구하였는데, 고려에게는 큰 부담이
되었다.
• 고려는 거란을 물리친 뒤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어
이러한 상황에서 몽골의 사신이 고려에 왔다가 돌아가는 길에 죽자,
몽골은 이를 구실로 고려를 침략하였다. 몽골이 침입한 뒤 고려는 강화도로
떤 노력을 하였나요?
도읍을 옮겼다.
– 북쪽에 천리장성을 쌓았습니다.
거란의 군사들이 흥화진에 이르자, 강감찬은 기병 1만
2천 명을 뽑아 산속에 숨어 있게 하고 쇠가죽을 엮어 고려가 강화도로 도읍을 옮긴 까닭
고려 흥화진의 동쪽을 둘러싼 강을 막았다.
➍ 별별 이야기 _ 흥화진 전투 승천부
강화도는 육지와 가까우면서도 섬과 육지 사이의
물살이 빠르고 갯벌이 넓어 방어에 유리하였다. 몽골 교동도
강감찬은 거란군이 강을 건널 때 막았던 물을 터뜨려 거란의 군이 강화도를 공격하려면 빠른 물살을 건너야 했다.
궁궐
문수산
군대를 무너뜨렸다. 그리고 숨어 있던 병사들이 거란군을 공격 • 거란의 3차 침입 때 강감찬은 흥화진에서 거란군을 어떻
고려산
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또한 고려가 궁궐을 짓고 그 주위에 성벽을 건설했기 석모도 강화도 수군으로
방어
게 물리쳤나요?
때문에 몽골군이 강화도를 공격하는 것은 더욱 어려
웠다. 마니산
고려 시대의 지형 별궁 참성단
현재의 지형
– 쇠가죽을 엮어 강물을 막았다가 거란군이 강을 건널
고려 시대의 강화도 강화도는 지방에서 뱃길로 식량과
물자를 운반하기에도 좋았다.
때 물을 터뜨려 거란군을 공격하였습니다.
정리
강화도에 있는 고려 궁터
44 44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학습 내용 정리하기 2.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45
• 거란의 침입과 극복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확인해요
• 거란의 1차 침입 때 서희는 왜 외교 담판에 나섰나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거란의 침략 의도가 고려와 송의 관계를 끊게 하는
데 있음을 알아채고 외교 담판에 나섰습니다. ( 서희 )의 외교 담판으로 고려는 강동 6주를 얻
었다.
• 서희의 외교 담판이 가져온 결과는 무엇인가요?
– 고려가 송과 관계를 끊기로 약속하여 거란군이 물러
차시 예고하기
갔고,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를 얻었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몽골의 침입과 극복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➋ 탐구해요 _ 서희의 외교 담판
판서하기
1. 거란이 고려를 침략한 까닭을 써 보자. 1. 거란의 침입과 극복 과정
1차 침입: 거란이 송을 공격하기 전에 고려를 자기편
예시 답안
으로 만들려고 침입함. → 서희가 외교 담판을 벌여
송과 전쟁하기 전에 고려를 자기편으로 만들려고 하
송과의 관계를 끊기로 약속하고 강동 6주를 얻음.
였습니다.
2차 침입: 고려가 송과의 관계를 유지하자 거란이
2. 서희가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방법을 어떻게 생각 다시 침입함. → 한때 도읍을 빼앗김, 거란과의 관
하는지 써 보자. 계 회복을 약속함.
예시 답안 3차 침입: 고려가 강동 6주를 돌려 달라는 거란의 요
거란의 침입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쟁 없이 거란 구를 거절하자 거란이 다시 침입함. → 강감찬이 귀주
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에서 거란군을 크게 물리침. 이후 천리장성을 쌓음.
165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