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1 - ele_society_5-2_tutor
P. 171

수업 제안  고려와 원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몽골에도 고려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1
                   의 풍속이 전해졌음을 알게 하고, 몽골에 전해진 고려의 풍속에
                                                                     공민왕의 뇌 구조 그리기                                 단원
                   는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게 한다.
                                                                     –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한 공민왕의 업
                 •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돌아온 이후 권문세족이라고 불리
                                                                      적을 뇌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는 지배층이 등장하였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권문세족이
                                                                     ①  뇌 구조가 그려진 종이를 나누어 준다.
                   되었을까요?
                                                                     ②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공민왕이 한 노력을
                  –  대대로 권력을 가졌던 집안이 권문세족이 되었습
                                                                       조사하여 정리하게 한다.
                    니다.
                                                                     ③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민왕의 업적을 뇌 구조
                  –  원의 힘을 이용해 성장한 사람들이 권문세족이 되었                       에 쓰게 한다.
                    습니다.

                 •  권문세족은 대체로 원의 힘을 이용하여 성장하였습니다.                  정리
                   그런데 이들 때문에 고려에서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습
                   니다. 어떤 문제가 나타났나요?                                 학습 내용 정리하기
                                                                  • 몽골의 침입과 극복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  원의 힘을 이용하여 권력을 독차지하였습니다.
                                                                  •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돌아온 후 나타난 사회의 변화 모습
                  –  권력을 이용하여 백성의 토지를 강제로 빼앗아 농장
                                                                    을 정리해 봅시다.
                    을 운영하였습니다.
                  –  가난한 사람들을 데려와 자신의 농장에서 강제로 일                     확인해요
                    하게 하였습니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농장을 운영하여 많은 이익을 얻었지만 나라에 세금
                                                                    • 고려는 몽골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려는 소
                    도 내지 않았습니다.
                                                                      망을 담아 ( 팔만대장경 )을/를 만들었다.
                 •  고려의 왕이 권문세족의 횡포를 막으려고 노력하였지만                       고려가 몽골과 강화한 후 개경으로 돌아가는 것에
                   제대로 할 수 없었던 까닭은 무엇일까요?                             반대하여 저항한 군대는 무엇인가? ( 삼별초 )
                  –  권문세족이 원과 친하였기 때문입니다.

                 •  14세기 중반에 원의 세력이 약해지자 고려의 왕이 개혁에                  차시 예고하기
                   나섰습니다. 이 왕은 누구인가요?                             • 다음 시간에는 고려의 문화를 알아보겠습니다.

                  – 공민왕입니다.
                                                                    판서하기
                 • 공민왕은 어떤 개혁 정책을 펼쳤나요?
                                                                    3.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돌아온 후 나타난 사회 변화
                  –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려고 하였습니다.
                                                                        원이 고려의 정치를 간섭함.
                  –  원을 믿고 횡포를 부리는 세력을 쫓아냈습니다.
                                                                      - 원이 고려에 관리를 파견하고 관청을 설치함.
                  –  원이 고려에 설치한 일부 관청을 없앴습니다.
                                                                      -  고려의 왕을 원의 공주와 혼인하게 함
                  –  권문세족이 강제로 빼앗은 땅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                      -  고려 왕자들을 왕이 되기 전까지 원에서 지내게 함.
                    주라고 하였습니다.                                          고려는 금, 은, 인삼 등을 원에 바침.
                 •  하지만 공민왕의 개혁 정책은 결과적으로 실패하였습니                        고려에서 변발, 족두리 등 몽골의 풍속이 유행함.
                   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요?                                      원의 세력을 이용한 지배층으로 권문세족이 등장함.

                  – 외적이 침입하여 나라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입니다.                        -  권력을 독차지함.
                                                                      -  백성의 토지를 강제로 빼앗아 대규모 농장을 운

                  – 권문세족이 개혁 정책에 반발하였기 때문입니다.
                                                                        영하면서 세금도 내지 않음.
                  – 공민왕이 죽음을 맞았기 때문입니다.
                                                                        공민왕이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혁 정책
                     지도상의 유의점  고려 말의 상황과 조선 건국의 배경을 연결
                                                                       을 펼쳤으나 실패함.
                   하여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69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