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4 - ele_society_5-2_tutor
P. 164

10~11 차시
                                                                                        교과서  40~41   쪽

                       왕건이 후손에게 남긴 가르침, 훈요10조                             나라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후삼국을 통일한 후에 왕건은 나라를 굳건히 유지하기 위하여 후대               고려 왕들의 노력
                       왕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의  가르침을  남겼다.  이는  고려의  정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왕건이 죽은 후 왕위 다툼이 일어나 왕권이 불안정해졌다.
                                                                    네가 다음 왕이                   저 자리는
                                                                    될 거야.                      네 것이야.
                             「훈요  10조」
                               (일부)
                  제1조
                                          제5조
                 불교의 힘으로
                                        서경을 중시할 것.
                나라를 세웠으니                                            이러한 상황에서 왕위에 오른
                 불교를 장려할 것.  제4조        서경  옛 고구려의                 광종은 왕권을 강화하고, 능력에
                                        수도인 평양.
                        우리나라는 사람과                                  따라 관리를 뽑기 위해 과거제를          이제 유교 경전을
                        땅이 중국과 다르므로                                       실시하였다.             공부하여 실력을 쌓아야
                                                                                              관리가 될 수 있다.
                        중국의 제도를 억지로
                         따르지 말 것.  제6조
                                 연등회와 팔관회를                                광종
                                             제7조
                                 성대하게 열 것.
                                          바른말을 받아들이고
                                            남을 헐뜯는 말을
                                             멀리할 것.
                                                                  억울하게
                                                                 호족의 노비가
                                                                  된 사람들을
                                                                  풀어 주어라.
                                                                                          이후 성종은 최승로가 올린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를 바탕으로
                                                                  지금 힘써야 할               여러 제도를 마련하였다.
                                                                새로운 정책을 건의하는
                                연등회는 등불을 밝혀 부처에게 복을 비는 불교 행사      글을 올려라.
                               이다. 고려 사람들은 매년 초 전국 곳곳에 등불을 밝히고                   「시무 28조」
                                                                  성종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빌었다.                          • 수령을 각 지방에 보내어
                                                                               백성을 돌보게 하십시오.
                                                                              • 불교를 믿는 것은 자신을
                                                                               닦는 근본이며, 유교를 행
                                                                               하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  )은/는 고려를 건국하고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근원입니다.             최승로
          40 40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2.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41 41
           ➎  왕건이 남긴 「훈요 10조」 알아보기                            –  고려 시대에 왕실이 불교를 장려하고 발전시켰음을
           • 왕건은 왜 「훈요 10조」를 만들었나요?                             알 수 있습니다.
             –  자신의 가르침에 따라 후손들이 나라를 잘 다스리기                   –  불교 행사가 많이 열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었습니다.                            • 제4조는 어떤 가르침을 담은 것입니까?
             –  후대 왕들이 나라를 잘 유지하기를 바랐습니다.                     –  중국의 제도를 억지로 따르지 말고 고려의 독자성,

           •  「훈요 10조」에 어떤 가르침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제1조에                 자주성을 지키라는 것입니다.
             담긴 가르침은 무엇인가요?                                  •  제5조에서는 서경을 중시하라고 하였습니다. 고려의 수도
             –  불교를 장려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는 지금의 개성인 개경이었습니다. 서경은 어디인가요?

           •  불교를 중시하라는 가르침을 담은 조항이 또 있습니다. 어                 – 서경은 옛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입니다.
             느 것입니까?                                         • 왕건은 왜 서경을 중시하라고 하였을까요?

             –  제6조입니다. 연등회와 팔관회를 성대하게 열 것을                   –  왕건이 고구려 계승을 내세워 고려를 세웠기 때문입
               당부하였습니다.                                         니다.
           • 연등회는 어떤 행사입니까?                                  • 제7조는 어떤 가르침을 담은 것입니까?
             – 등불을 밝혀 부처에게 복을 비는 불교 행사입니다.                    – 옳고 그름을 잘 판단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바라는 불교 행사입                   – 나쁜 말을 하는 사람을 멀리하라는 뜻입니다.
               니다.
                                                                 수업 제안  「훈요 10조」의 전체 내용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정
           •  제1조와 제6조를 통해 알 수 있는 고려 사회의 모습을 말                리한 후, 왕건이 만들고자 한 나라의 모습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해 볼까요?                                           발표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162    각론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