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ele_society_5-2_tutor
P. 161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1

                   이 단원에서는 고려를 세우고 외세의 침입을 막는 데                   호족
                                                                                                                   단원
                 힘쓴 인물들의 업적을 파악하고, 고려의 과학 기술과 문                     신라 말에 중앙 정부의 통치력이 약해지자 지방에서 성
                 화의 우수성을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둔다.                          장한 세력이다. 이들은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고 칭하
                   10~11차시에서는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과정을                  며, 지역민에게 세금을 거두고 군대를 양성하는 등 중앙
                 왕건의 활동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12차시에서는 서희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와 강감찬의 활약을 중심으로 거란의 침입과 극복 과정                    후삼국 시대
                 을 알아본다. 13~14차시에서는 몽골의 침입과 극복 과                    신라와 후백제, 후고구려가 서로 경쟁하면서 대립하던
                 정을 살펴보고, 15차시에서는 인쇄술, 화약 제조 기술,                  시기이다. 신라 말기에 지방의 호족이었던 견훤이 900년
                 고려청자를 중심으로 고려의 과학 기술과 문화를 살펴보                    에 후백제를 세우고, 궁예가 901년에 후고구려를 세우면
                 면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을 지닐 수 있도록                     서 시작되었다. 후삼국 시대는 왕건이 후백제를 정복하

                 한다.                                              는 936년까지 약 35년간 이어졌다.

                                                                  팔관회
                                                                    원래 부처를 믿는 사람들이 여덟 가지의 규칙을 실천
                  2  중단원 목표                                       하는 의식이다. 하지만 고려의 팔관회는 전통 신앙의 성
                                                                  격을 지니면서 국토를 지켜 주는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
                           • 고려를 세우는 데 힘쓴 인물의 업적을 살펴보고
                                                                  내고 나라의 평안을 비는 행사였다. 팔관회 때 송의 상
                             고려의 건국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외세의 침입을 막는 데 노력한 인물의 활약을 중           인, 여진의 사신 등도 참석하여 축하 인사를 하고 특산물
                    지식
                             심으로 고려의 극복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을 바치기도 하였다.
                           •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며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고려 시대 주요 인물과 그들의 업적을 조사하여 정
                    기능
                            리할 수 있다.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우리 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알고 소중히 여기는 마               전국역사교사모임, 『전국역사교사모임 선생님이 쓴 제
                  가치·태도
                            음을 지닐 수 있다.
                                                                   대로 한국사 3, 4』, 휴먼어린이, 2019.
                                                                   -  현직 역사 교사들이 쓴 책으로, 사료를 생생한 이야
                                                                     기로 풀어 고려의 역사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박종진 외, 『고려는 어떻게 세계 최초로 금속 활자를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만들었나요?』, 다섯수레, 2014.
                                                                   -  고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 인쇄술 등 50여 개의 주제
                                 고려의 건국 과정
                                    탐색하기                             를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질문과 대답으로 구성하
                                                                     였다.
                    독창적                             고려 시대            청주고인쇄박물관(www.cheongju.go.kr)
                                고려의 외침 극복 과정
                  문화를 발전                           인물과 문화유
                                    탐색하기                           -  금속 활자의 의미와 주조법, 금속 활자의 발전 과정
                   시킨 고려                            산 파악하기
                                                                     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시대                         •고려청자박물관(www.celadon.go.kr)
                                과학 기술과 문화의
                                                                   -  고려청자에 대한 설명과 사진, 고려청자의 제작 과정
                                 우수성 탐색하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159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