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 ele_society_6-1_tutor
P. 159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1

                   이 단원은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 민주적 의사 결                  정치
                                                                                                                   단원
                 정의 원리를 일상생활 차원에서 학습함으로써 우리 생활                      넓은 의미의 정치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과 민주주의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문제에 관한 구성원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갈등을 해
                   10~11차시에서는 생활 속 민주주의의 실천 사례를 중                 결하는 모든 활동을 말하며, 좁은 의미의 정치는 정치권
                 심으로 정치와 민주주의의 의미를 알아본다. 12차시에서                   력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정치인의 활동을 의미한다.

                 는 두 조랑말의 이야기를 통해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바람                   민주주의
                 직한 태도를 알아보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태도를                     민주주의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그 주권이 국민이
                 함양하도록 한다. 13~14차시에서는 민주적 의사 결정 원                 직접 뽑은 국민의 대표에 의해 행사되는 정치 형태를 말
                 리로서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 다수결의 원칙, 소수                  한다. 그러나 오늘날 민주주의는 단순히 정치 형태를 넘
                 의견 존중 등의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본다. 15차시에서는                  어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과 같은 민주주의 정신과

                 지금까지 배운 민주적 생활 태도와 민주적 의사 결정 원                   대화와 타협, 관용, 다수결의 원칙 등 민주적 생활 방식
                 리를 적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의사 결정이 필요한 구체적                    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인 사안을 찾아 민주적으로 해결해 보도록 한다.
                                                                  민주적 문제 해결 과정
                                                                    첫째, 공동체 문제에 참여하고 문제의 성격을 규명하

                  2  중단원 목표                                       는 ‘문제 확인 단계’이다. 둘째, 의견을 듣고 자신의 생각
                                                                  을 근거를 들어 논리적으로 말하는 ‘대화 단계’이다. 셋

                           • 생활 속 사례를 통해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            째, 각 대안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반성 단계’
                             을 파악할 수 있다.
                    지식                                            이다. 넷째, 다른 의견을 설득하고 타협안을 만드는 ‘설
                           •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
                             할 수 있다.                              득과 타협의 단계’이다. 다섯째, 각 대안과 타협안을 검
                                                                  토한 후 다수결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집단 의사 결
                           •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민주주의의 실천 사례를
                             탐구할 수 있다.                            정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대안을 실현할 구체적
                    기능
                           •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에 따라 공동체의 문제를
                                                                  방안들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실천 단계’이다.
                             해결할 수 있다.
                           •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태도를 갖는다.
                  가치·태도    •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를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
                             하려는 자세를 지닌다.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알렉스 프리스 외,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참 쉬운 정
                                                                   치』, 어스본코리아, 2018.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  어린이가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정치와 관련한 여러

                                                                     개념과 현상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었다.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 파악하기                            플란텔  팀,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룰까요?』,  풀빛,
                                                                   2017.
                                                    실제 생활
                  일상생활과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속에서           -  민주주의의 개념을 아이들에게 익숙한 ‘놀이’에 비유
                   민주주의         바람직한 태도 알기          민주주의             하며 쉽게 접근하였다.
                                                    실천하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www.nec.go.kr)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의                       -  통합 자료실의 홍보 자료(영상, 이미지, 웹툰 등), 민
                               의미와 필요성 이해하기
                                                                     주 시민 교육 자료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57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