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6 - ele_society_6-1_tutor
P. 156

5·18 민주화 운동이 이후 민주화 운동에 미친 영향                  비해 나갔다.

             5·18 민주화 운동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신                   그런데 하루 전날인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
           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이 교문 앞에서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
           벌어진 민주화 운동은 5·18 민주화 운동의 정신을 이어                   아 피를 흘리며 쓰러졌다. 그는 곧 혼수상태에 빠졌다.
           받아 앞서서 싸우다 희생당한 이들의 뒤를 따르겠다는                      의식을 잃은 이한열의 소식이 알려지고, 그가 시위 현장
           강렬한 의지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에서 피를 흘리는 사진이 공개되면서 학생들은 물론 시
            - 류승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 현대』, 가람기획,        민들의 분노가 들끓었다. 이러한 분노 속에서 6월 10일
                                             2016, 580쪽 -    부터 본격적인 항쟁이 전개되었다.
                                                             - 오제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학술 행사 자료집』 「한국
            5~6 차시                                            근현대사 속의 6월 항쟁: 3·1 운동, 4월 혁명과 비교를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7, 64~65쪽 -
              6월 민주 항쟁에 참여한 시민들
                                                               4·13 호헌 조치
             4·19 혁명 이후 30여 년 동안 시위가 빈번하였지만,
           대개는 학생 운동의 성격이 강하였고, 시민들이 참여한                      제5공화국의 대통령 간선제가 민주주의 원리를 위반
           것은 부마 항쟁과 5·18 민주화 운동을 꼽을 수 있을 정                  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1987년 12월로 예정
           도이다. 6월 민주 항쟁에 시민이 참여한 데는 1986~1988               된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986년부터 직선제 개헌 요구
           년 3년 동안 국민총생산(GNP) 성장률이 연평균 13%를                  가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오르내리는 ‘단군 이래 최대 호황’이라는 경제적 조건도                     하지만 전두환은 시국 혼란을 이유로 1987년 4월 13
           작용하였다. 4·19 혁명, 부마 민주 항쟁, 5·18 민주화                일에 일체의 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하였다.
           운동은 경기 침체나 경제 악화가 시민 참여의 한 요인이                    여야 합의가 어려운 상황에서 대통령 간선제인 현행 헌
           되었지만, 보수적인 기독교도들이나 일반 시민들이 6월                     법을 유지하고 1988년 3월에 정부를 이양하겠다는 것이

           민주 항쟁에 다수 참여한 것은 전두환의 통치 방식이 자                    었다. 그러나 4·13 호헌 조치는 장기 집권을 우려하는
           신들의 생활 수준과 맞지 않는다는 감각이 한몫하였다.                     전 국민의 저항을 불러일으켰으며, 직선제 개헌과 민주
               6월 민주 항쟁에 참여한 시민 가운데는 ‘넥타이 부대’                화를 요구하는 6월 민주 항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로도 불린 20·30대의 화이트칼라층과 중간 계층이 열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
           적이었다. 6월 민주 항쟁에 참여한 학생들과 이들 중간
                                                               6월 민주 항쟁의 전개
           계층, 넥타이 부대는 이후 민주주의 확장에 중심적인 역
           할을 하였고 시민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시민운동이 6월                      1987. 1. 14.  박종철, 고문으로 사망

           민주 항쟁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                      1987. 4. 13.  전두환의 4·13 호헌 조치
           하다.                                                1987. 5. 20.  천주교 정의 구현 전국 사제단, 박종철 고문치사 사
                                                                       건 진상 조작 폭로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한국 민주화 운동사 3』, 돌베개, 2010, 348쪽 -     1987. 5. 27.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 본부(국본)’ 발족
                                                              1987. 6. 9.  이한열, 최루탄에 피격
              대학생 박종철과 이한열의 죽음                                         ‘박종철 고문치사 조작·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
                                                              1987. 6. 10.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경찰에 끌려갔                            대회’ 개최
           다. 경찰은 박종철의 입을 열기 위해 고문을 자행하였고                     1987. 6. 18.  최루탄 추방 결의 대회
           이 과정에서 박종철이 사망하였다. 정부는 이 사건의 진                     1987. 6. 26.  민주 헌법 쟁취를 위한 국민 평화 대행진

           상을 축소·왜곡하려 하였지만 결국 모두 폭로되었다. 오                     1987. 6. 29.  노태우 민정당 대표 위원, 6·29 민주화 선언
           히려 학생 운동권 등 민주화 세력은 이를 계기로 힘을 모                    1987. 7. 9.  고 이한열 영결식
           아 1987년 6월 10일을 디데이로 하는 대규모 항쟁을 준                                          - 6·10민주항쟁(610.or.kr) -


           154    각론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