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2 - ele_society_6-1_tutor
P. 262

학 공업화 추진은 한국의 산업 구조를 끌어올리는 역할                     년 에콰도르에 8대를 수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을 하였고, 지금도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주력 산                    1980년대에는 미국의 저가 자동차 시장에 현대 ‘엑셀’ 등
           업들의 발전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약 20만대 정도 팔렸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세계적

             중화학 공업화가 산업 발전 측면에서 성공을 거둘 수                    수준과는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 하지만 끊임없는 노력
           있었던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였다. 첫째, 1960년                   으로 서양의 유수한 자동차들과 당당한 경쟁을 벌이는
           대에 수출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성공한 기업가들이 정                     시대에 접어들었다.
           부의 중화학 공업화 정책에 호응하여 대거 참여함으로                       한편, 자동차 산업과 거의 같은 시기에 밀어붙인 대표
           써 중화학 공업을 이끌어 갈 주도적인 경제 주체 노릇을                    적인 중공업이 조선 산업이었다. 1974년에 현대 조선소
           하였다. 둘째, 때마침 이루어진 농업에서의 획기적인 생                    가 준공되어 처음으로 우리 손으로 만든 어마어마한 크
           산 혁명 즉, ‘녹색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농업 생산성                   기의 배가 진수식을 가졌다. 2003년부터는 우리나라가
           의 획기적인 향상은 중화학 공업화를 간접적으로 지원                      일본을 제치고 선박을 주문받은 수주량과 선박 건조량
           하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직접 육성할 산업을 선정·발                   에서 모두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표하고 선정된 산업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archives.go.kr) -
           아끼지 않았던 정부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1970 ~ 1980년대 수출품
                                - 김도훈, 『한국 경제 포럼』 6권 4호
             「한국 산업 발전과 향후 과제」, 한국경제학회, 2014, 20~21쪽 -        1970년대에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이 적극적으로 전

                                                             개되면서 기계, 선박, 철강 등의 중화학 제품들이 수출
               중화학 공업 인력 양성                                  의 40~50%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경공업
             금속, 전자, 전기, 자동차, 조선, 철강 등 부가 가치가                제품의 수출이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품목도 더욱 다양
           높은 제조업과 중화학 공업 분야에서는 더 높은 지식과                     해졌다. 섬유 제품은 1973년 단일 품목으로 수출 10억
           기술을 지닌 노동자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실                    달러를 달성하였고 라디오 등의 전자 제품과 라면, 신

           업계 고등학교를 지원하는 한편 전국 각지에 직업 훈련                     발, 악기, 고급 비누, 보온병, 인형 등이 수출되었다. 한
           원을 만들었다. 대학과 전문 대학들은 새로운 산업과 관                    편, 자동차와 객차의 수출이 시작되었고, 시멘트의 수출
           련한 학과를 신설하였다. 또한 정부는 연구 개발을 담당                    량도 늘어났다. 그 결과 1977년에는 수출 100억 달러를
           하는 국가 연구소를 만들고 민간 기업에서도 연구소를                      달성하였다.
           만들도록 독려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기, 전자, 자동차, 조선, 기계류
                - 유시민, 『나의 한국 현대사』, 돌베개, 2014, 138~139쪽 -    의 중화학 공업 제품이 수출의 50~60%를 차지하게 되
                                                             었다. 특히 전기, 전자 분야의 수출이 급증하며 전체 수
               자동차 산업과 조선 산업                                 출의 30%를 점유하였다. 컬러텔레비전, 휴대폰, 보일

             국산 자동차를 만들려는 시도는 민간 부문에서 여러                     러 등 전자 제품의 수출은 1980년대 초반 20억 달러에
           차례 있었다. 이 과정을 지켜본 정부는 자동차 산업을 정                   서 1989년 180억 달러를 달성하였으며 반도체, 컴퓨터,
           부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기로 하고 여러 시책을                      가전제품 등이 수출 주력 상품이 되었다. 1980년대 중반
           펼쳐 나갔다. 자동차 산업은 후진국이나 개발 도상국에                     부터는 우리나라에서 자동차의 수출 비중이 매우 커지
           서 가장 활성화하고 싶어 하는 분야였다. 부가 가치와 고                   게 되었다.
           용 창출에 큰 기여를 하며, 제철이나 정유 등 연관 산업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archives.go.kr) -
           을 동반 성장시키고,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
                                                                와우 아파트 붕괴와 광주 대단지 사건
           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1975년에 국내 최초의 양산형 자동차인 현대                   6·25 전쟁 때의 수많은 전쟁 이재민과 1950 ~ 1960년
           ‘포니’가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포니’는 이듬해인 1976                대 농촌으로부터 온 이주자들로 서울의 인구는 급증하


           260    각론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