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 ele_math_5-2_tutor
P. 232

수 86쪽



                         수 학       대칭의 아름다움                            참고  자료
                          알 기      대칭의 아름다움
                                                                          데칼코마니 기법
                                                                       데칼코마니 기법은 ‘전사법’이라는 뜻이며 화면을 밀착시킴
                                           여러분도 미술 시간에 한 번쯤은 해 보았을
                                                                       으로써 물감의 흐름으로 생기는 우연한 얼룩이나 어긋남의
                                           거예요. 종이 한쪽에 여러 가지 색의 물감을 묻힌
                                           다음, 종이를 반으로 접었다 펴면 접은 선을
                                                                       효과를 이용한 기법이다. 종이 위에 물감을 두껍게 칠한 다
                                           기준으로 양쪽에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지요.
                                           이것은 미술 장식 기법 중 하나인 ‘데칼코마니’  음 그것을 반으로 접거나 다른 종이를 그 위에 겹쳐 압착했
                                           예요.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보면 대칭, 더
                                데칼코마니로 만든 작품                           다가 떼어 내면 그곳에 색다른 채색 상태가 생겨 다양하고
                                           정확히 말하면 선대칭도형이에요.
                              대칭은 데칼코마니뿐만 아니라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눈의 결정, 동물,   환상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인쇄기에 넣을 수 없는 물체에
                             식물, 건축물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대칭을 이루는 도형은 균형이
                                                                       장식을 하거나 상표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잡혀 안정적이고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지요.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무늬를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어요.
                                             출처: 동아사이언스, 『수학동아』, 2016년 12월호.
                                    인도의
                                   타지마할

                                                                                 출처: 교육부,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2020.




                      86 86  수학 5 - 2


                     20개정_초등_수학[523](059~086)_수정본-2교.indd   86  2022. 4. 12.   오후 6:07
                                                   수학   더 알기

                                                   땅 위에서 대칭은 철저하게 짝수로 등장한다. 사람의 두 발과 두 손이 그렇
                        전자 저작물 활용
                       영상(동영상) 자료 수록              고, 동물의 경우 다리의 개수가 4개, 8개, 12개 등 짝수이다. 또한 대부분 동물
                                                  은 긴 쪽을 중심으로 양쪽 모양이 같게 된다. 그리고 중력의 방향에 따라 형성
                                                  된 긴 쪽에는 척추와 소화 기관 등 다소 긴 장기가 위치하여 생명을 이어 가기
                                                  편하도록 진화했다.
                                                   진화 생물학에 따르면 좌우 대칭은 생존 경쟁의 결과로 설명된다. 생물 자체
                                                  로도 좌우 대칭은 몸의 균형을 잡기 편하기 때문에 땅 위에서 이동할 때 유리하
                                                  다. 이동하기 편하다는 것은 천적으로부터 도망가기 유리하다는 이야기이다. 또
                                                  좌우 대칭은 아름답기 때문에 꽃의 경우 벌이나 나비를 유혹할 때 도움이 된다.
                                                   벌은 색맹이고 사물과의 거리를 판단하지 못해 끊임없이 사물들과 충돌한다.
                                                  그러나 벌이 자기 역할을 잘할 수 있는 것은 대상물이 대칭이기 때문이다. 벌은

                                                  본능적으로 대칭을 강하게 인식한다. 결국 동물이나 식물에게 대칭은 생존에
                                                  적합하고 유리한 필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전자 저작물 활용
                       영상(만화) 자료 수록                                             출처: 교육부,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2020.,
                                                                                            머니투데이, 2014년 5월 28일.









                    230   수학 5-2 지도서







            20개정_초등_지도서[523](181~230)_수정본-3교.indd   230                                                            2022. 4. 27.   오후 7:07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