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9 - ele_math_5-2_tutor
P. 289
9 단원의 1. 입체도형의 개념과 지도
이론적 배경 일반적으로 상자와 같이 6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육면체라 하며, 면과 면이 만 5
나는 선을 모서리라 하고, 세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꼭짓점이라고 한다. 육면체는 8개의 꼭짓
점과 12개의 모서리, 6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이때 이웃하는 면이 모두 서로 수직일 때 이 육
면체를 직육면체라고 한다. 직육면체의 모든 면은 직사각형이다. 특히, 직육면체의 모든 면이
정사각형일 때 이 직육면체를 정육면체라고 한다. 정육면체와 직육면체는 평면도형에서의 정
사각형과 직사각형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의 학습은 우선 그 경계면만을
생각하기로 한다(김성준 외, 2015).
가. 입체도형
입체도형은 여러 개의 평면이나 곡면으로 둘러싸여 3차원의 공간에 놓인 물체 또는 그 물체
가 차지하는 공간을 추상화한 기하학적 도형이다. 입체의 경계는 면이고, 평면과 곡면이 모두
그 면이 될 수 있다. 특히 모든 면이 평면일 때의 입체도형은 다면체가 되고, 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일 때의 입체도형은 곡면체가 된다. 입체도형을 평면의 그림으로 나타낼 때는
겨냥도 또는 여러 가지 투영도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입체도형이라는 용어를 예시를 들어 암묵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교육부,
2020).
나. 직육면체
김성준 외(2015)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였다.
직육면체의 개념은 모형과 구체물을 직관적으로 관찰하고 조작하면서 접근한다.
1 ̄2학년군에서는 상자, 주사위, 쌓기나무와 같은 구체물을 관찰하고, 쌓기나무를 조
작하여 여러 가지 입체 모형을 구성한다.
5 ̄6학년군에서는 입체도형을 통해 직육면체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그 성질을
조사한다. 이때 입체도형을 관찰하는 관점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구성 요소의 수를 조사한다.
• 구성 요소 사이의 위치 관계를 조사한다.
• 구성 요소 사이의 상등 관계를 조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직육면체에 대하여 다음을 발견할 수 있다.
• 직육면체의 모든 면은 직사각형이다.
• 마주 보는 면은 서로 합동이다.
• 마주 보는 면은 서로 평행하다.
• 8개의 꼭짓점, 12개의 모서리, 6개의 면이 있다.
•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모서리는 3개이고, 이 세 모서리는 서로 수직이다.
• 정육면체의 모든 면은 합동인 정사각형이다.
5. 직육면체 287
20개정_초등_지도서[525](279~324)_수정본-4교.indd 287 2022. 4. 27. 오후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