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1 - ele_math_5-2_tutor
P. 291
일반적인 입체도형을 언급하기 어려웠다. 이 단원에서는 1 ̄2학년군에서 학습한 여러 가지
모양을 활용하여 분류된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을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구분했는지 유추해 보 5
는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일반적인 입체도형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입체도형을
토대로 직육면체와 정육면체를 인지하도록 구성했다.
나. 직육면체의 성질
직육면체의 성질에서는 마주 보는 면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만나는 면은 수직으로 만나는
관계임을 학습한다. 초등 교육에서는 직육면체에서의 수직과 평행에 대해 엄밀하게 다루지 않
는데 이 단원에서는 조작 활동을 통해 이러한 성질을 설명하고 있다. 직육면체에서 마주 보는
두 면이 서로 만나지 않고 평행함을 조작 활동으로 경험하며 서로 마주 보는 면 사이의 관계를
이야기해 보도록 구성했다. 서로 평행한 면을 직접 표시해 보며 밑면이 될 수 있는 두 면을 찾
아보고, 이를 통해 직육면체에는 평행한 면이 3쌍 있고, 이 3쌍의 평행한 면은 각각 밑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하였다. 직육면체의 기준이 되는 면인 밑면을 학습한 다음 옆면을 학
습하게 된다. 한 밑면과 만나는 면이 서로 수직임을 알아보기 위해 한 밑면과 만나는 면에 삼
각자의 직각 부분을 대어 보고 서로 만나는 면 사이의 관계를 이야기해 보게 함으로써 한 꼭짓
점에서 만나는 3개의 면이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는 사실을 이해하도록 구성했다. 이때 옆면이
될 수 있는 면을 모두 찾아 직접 표시해 보며 밑면과 옆면의 관계를 유추해 보게 하였다.
다. 전개도 알아보기와 전개도 그리기
직육면체의 전개도를 학습하는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직육면체와 정육면체 상자의
모서리를 각각 가위로 오려 펼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며 전개도의 정의를 확인하게
하였다. 직육면체의 전개도를 그리는 활동에 앞서 전개도를 접었을 때 평행한 면, 수직인 면,
겹치는 모서리 등을 유추해 보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전개도를 알아보는 차시와 전개도를 그
려 보는 차시로 분리하여 구성했다.
자료 출처
• 교육부,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2020.
• 김성준, 김수환, 신준식, 이대현,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최창우,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 연구와 지도
법』, 2015.
• 서화진, 이광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2018.
5. 직육면체 289
20개정_초등_지도서[525](279~324)_수정본-4교.indd 289 2022. 4. 27. 오후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