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3 - ele_math_6-1_tutor
P. 333

수 134~135쪽 익 80~81쪽
                          수업   흐름

                             도입                                                                진단 평가
                                                                                              1. 부피가 1 cm^3인 쌓기나무를 쌓아
                         • 부피가 1 cm^3인 쌓기나무의 개수를 세어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내용을                                                       6
                                                                                                만든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해 보
                           상기할 때  진단 평가 를 활용할 수 있다.                                             세요.
                         • 차시 학습 목표와 학습할 내용을 안내한다.





                                                                                                                 12 cm^3
                             전개

                         ➊      직육면체의 부피 구하기           추론      의사소통
                         • 휴지 갑의 부피를 알아보기 위해 휴지 갑과 똑같게 쌓기나무를 쌓으려고 합니
                           다. 그림 속에서 어떤 문제가 생겼나요?
                              - 휴지 갑과 똑같게 쌓기나무를 쌓기 어렵습니다.
                         • 쌓기나무를 사용하지 않고 부피를 구할 수 있을까요?                                         도움말

                              - 넓이처럼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전 차시에서 학습했던 쌓기나무의
                         •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에 맞게 부피가 1 cm^3인 쌓기나무를 쌓았어요.                       개수를 세는 방법인 (한 층의 쌓기나
                                                                                              무의 개수)×(층수)와 관련지어 지
                           표를 완성해 보세요.
                                                                                              도한다.
                              - (직육면체 모서리의 길이와 한 모서리에 놓인 쌓기나무 개수를 보고 표를
                             완성한다.)
                         • 가로, 세로, 높이에 놓인 쌓기나무의 개수를 이용하여 쌓기나무의 부피를 구                            과정 중심 평가 방안 (탐구)
                           해 보세요.                                                             평가 방법  | 관찰

                              - 4\2\3=24`(cm^3)입니다.                                             학습 정보      지도 방안 예시
                         • 가로, 세로, 높이를 알 때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이야기해 보세요.                                   쌓기나무로 직육면
                                                                                               직육면체의 부
                              - 각 모서리에 놓인 쌓기나무의 개수는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의 길이                       피를 구하는 방  체를 한 층 한 층
                                                                                                         쌓아 보고 이를 모
                             와 같기 때문에 직육면체의 부피는 (가로)\(세로)\(높이)로 구합니다.                          법을 찾지 못하  서리의 길이와 연결
                                                                                               는 경우
                              -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에 놓인 쌓기나무의 개수를 곱하면 전체 쌓기                                 짓도록 안내한다.
                             나무 개수이고, 전체 쌓기나무 개수로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
                             다. 따라서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하여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합
                             니다.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 직육면체의 부피는 (가로)×(세로)×(높이)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어요.                           | 부피가 같은 직육면체 만들기  |
                                                                                              ① 각자 부피가 1 cm^3인 쌓기나무
                         • 직육면체의 부피는 밑면에 놓인 쌓기나무가 높이만큼 쌓여 있다고 볼 수도 있
                                                                                                24개로 직육면체를 만들어 본다.
                           기 때문에 (한 밑면의 넓이)×(높이)로도 구할 수 있어요.                                  ② 나와 친구가 만든 직육면체의 가

                              교과 역량                                                             로, 세로, 높이가 얼마인지 알아
                           쌓기나무를 사용하지 않고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떠올리고 이야기해 보면서 의사소통                         본다.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쌓기나무를 사용하여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과정에서 쌓기나                     ③ 쌓기나무 24개로 만들 수 있는
                           무의 개수와 모서리 길이의 관계를 귀납적으로 연결 짓고, 쌓기나무의 개수를 세기 위한                      직육면체를 모두 찾아본다.
                           곱셈식으로부터 일반화하여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이끌어 냄으로써 추론 능
                                                                                                  전자 저작물 활용
                           력을 기를 수 있다.
                                                                                                 추가 활동 자료 수록


                                                                                             6.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     331







            20개정_초등_지도서[616](303~346)_수정본OK.indd   331                                                             2022. 4. 28.   오후 12:13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