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ele_maths_4-2_teacher
P. 139

놀이의 주안점
                                                                                                                                      이 놀이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활용하여 다각형의 이름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다각형을 그려 보
                                                                                                                                      는 활동을 통해 정보 처리 능력을 기르며, 다각형의 변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점차 원에 가까워
                                                                                                                                      진다는 것을 추론 과정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이 그린 다각형을 자신이 그린 다각형과 비교해 보며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                            핵심 질문
                                                                                                                                      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다각형을 그려 보는 활동을 통해 창의·융합 능력을 기를 수 있다.                      Q 주사위를 굴려서 나온 눈의 수가 2와
       Tip                                                                                                                                                                                                         4일 때, 두 눈의 수의 합이 변의 수가
      다음 도형은 모두 사각형일                                                                                                                                                                                               되는 다각형은 무엇일까요?
      까요?                                                                                                                                                                                                          A 2+4=6이므로 변의 수가 6개인
                                                                                                                                                                                                                    다각형은 육각형입니다.
       о о                                                                                                                                                                                                       Q 주사위를 굴려서 나온 눈의 수가 1과
                 ա ա                                                                                                                                다각형 그리기
                                             다각형의 변의 수 알아보기                                   추론 | 의사소통                                                                                                            1일 때, 두 눈의 수의 합이 변의 수가
      사각형의 정의에 따르면 사                                                                                                                                         추론 | 창의·융합 | 의사소통 | 정보 처리                             되는 다각형은 무엇일까요?
      각형은 4개의 선분으로 둘러                         1  다각형을 변의 수에 따라 표에 정리해 보세요.                                                                                                                                         A 1+1=2인데 변의 수가 2개인
                                                                                                                                                                                                                    다각형은 없습니다.
      싸인 평면도형이다. 도형 가,                                                                                                                    주사위를 굴려 알맞은 다각형을 그려 보세요.                                                 6
      나에서 모두 4개의 변, 4개                                                                                                                                                                                           Q 다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두 눈의
      의 각, 2개의 대각선을 찾을                                                                                                                     준비물    주사위 2개       인원     2명                                           수의 합이 적어도 얼마가 되어야 할
                                                                                                                                                                                                                   까요?
      수 있다. 다만, 도형 나에서 2
      개의 대각선 중에서 한 개는                                                       나                 다                                            놀이 방법    1   짝과 함께 주사위를 각각 1개씩 굴립니다.                                    A 다각형 중에서 변의 수가 가장 적
      도형의 내부에 있지만 다른                                     가                                                                                          2   나온 두 눈의 수의 합이 변의 수가 되는 다각형을 말합니다.                           은 것은 삼각형이므로 주사위 2개
      한 개는 도형의 외부에 있다.                                                                                                                                                                                              를 굴려 나온 눈의 수의 합이 적어
      또한 도형 가, 나 모두 내각                                                                                                                              3   서로 보지 않고  2  에서 말한 다각형을 각자 그립니다.                            도 3이 되어야 합니다.
      의 크기의 합이 360°라는                                                                                                                               4   각자 그린 다각형을 바꿔서 바르게 그렸는지 확인합니다.                           Q 주사위 2개를 굴려서 나오는 두 눈의
      것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                                                                                                                                                                                             수의 합이 변의 수가 되는 다각형 중
      학적으로 도형 가, 나는 모두                                   라                  마                 바                                                                                                                    에서 변의 수가 가장 많은 다각형은
      사각형이다.                                                                                                                                         주사위를 굴려서 나오는                                    4+1=5니까       무엇일까요?
                                                                                                                                                     눈의 수가   와   이면                                변이 5개인 다각형을     A 각각의 주사위 눈의 수가 6이 나올
          가       나                                                                                                                                                                                  말하고 그려요.
       볼록사각형    오목사각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때, 두 눈의 수의 합인 12가 변의
                                                                                                                                                                                                                    수가 되는 다각형이므로 십이각형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입니다.
        는 다각형의 범위를 볼록                            변의 수(개)                                                                                                                                                         Q 다각형의 변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각형까지만 다루고 있다.                                          3       4      5       6      7       8
                                                                                                                                                                                                                   점차 어떤 도형에 가까워지나요?
      출처: 박교식, 『사각형 다시                          다각형의 기호         가      나       마       다      라       바                                                                                                            A 원에 가까워집니다.
      보기, 사각형의 매력 탐구』.                                                                                                                                                                                           Q 여러 가지 다각형을 그리며 알게 된
      최종현, 최경아, 박교식, 「2009                                                                                                                                                                                         사실을 짝과 함께 이야기해 보세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2  변의 수에 따라 분류한 다각형을 무엇이라고 부르면 좋을까요?                                                                                                                                 A 짝과 함께 활동하며 변의 수가 같
      학교 4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 변의 수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이라고                                                                                                                          아도 모양과 크기가 서로 다른 다
      의 오목다각형 취급에 대한                                                                                                                                                                                                각형을 그릴 수 있다는 점이 재미
      비판적 검토」.                                     부르면 좋겠습니다.
                                                                                                                                                                                                                    있었고, 다각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                                             적어도 3개의 변이 필요하다는 것
                                     다각형은 변의 수에 따라 변이 6개이면 육각형, 변이 7개이면 칠각형, 변이                                                                                                                                     을 알 수 있었습니다.
                                     8개이면 팔각형이라고 합니다.                                                                                                                                                                     놀이 응용하기
                                                                       변이 9개인 다각형을 무엇이라고
                                                                                                                                                                                                                         놀이 방법의  1 ,  2 는 같지
                                                                            부르면 좋을까요?
                                                                                                                                                                                                                         만 조건에 맞는 다각형을 한
                                                                                                                                                                                                                         가지만 그리는 것이 아닌 여
                                       2     표를 완성하고, 알게 된 점을 이야기해 보세요.                                                                                     주사위 2개를 굴려서 나온 두 눈의 수의 합으로 다양한 다각형                          러 가지로 그려 보는 활동으
                                                                                                                                                                                                                         로 놀이를 변형할 수 있다.
                                     추론                                                                                                                       을 그려 보니 주사위 눈의 수의 합이 2가 나왔을 때 변이 2개인                       짝과 함께 하는 활동이 아니
                                   정보 처리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다각형은 그릴 수 없었습니다. 주사위 눈의 수의 합이 가장 큰                         라 모둠별로 순서를 정하여
                                                                                                                                                                                                                         모둠별 놀이로 진행할 수 있
                                                 변의 수(개)          6           7          8          9                                      정리하기               경우는 12이고, 십이각형을 그릴 수 있었습니다.                                다. 이럴 경우, 교사는 칠판
                                                                                                                                                                                                                         을 활용하여 교과서에 제시
                                               꼭짓점의 수(개)          6           7          8          9                                          여러 가지 다각형을 그리며 알게 된 점을 짝과 함께 이야기해 보세요.                                    된 점 종이를 확대 복사하여
                                                                                                                                                                                                                         학급 전체 학생이 학습 결과
                                              도형마다 변의 수와 꼭짓점의 수가 같습니다.
                                                                                                                                                                                                                         에 대해 함께 검토하고 공유
                                  138   수학 4 - 2                                                                                                                                                   6. 다각형 139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형성 평가
                                                                                                                                       도형판에 자유롭게 색 고무줄로 다각형을 만들어 보고, 짝과 바꾸어 짝이 만든 다각형
                                                                                                                                       의 이름을 알아보는 놀이를 하며 수학 체험 활동을 경험하도록 지도할 수도 있다.
                          20개정_초등_수학[426](133~154)-심사본OK.indd   138-139                                                                                                                       2020. 11. 22.   오후 4:17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