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7 - ele_science_3-1_tutor
P. 297
예시 답안
과학사
나침반의 역사 • 나침반의 발명으로 정확한 방향을 알 수 있게 되어 좀 더 먼 곳으로
의 여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오래전 나침반이 없던 때에는 별을 보고 방향을 찾았습니다.
• 나침반의 발명으로 많은 탐험가가 생겨나 새로운 대륙을 발견하게 3
하지만 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나침반을 발명하면서 날씨나 시간에
관계없이 방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나침반이 있어서 되었다. 신대륙의 발견은 서로의 문화가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단원
신대륙 발견이나 세계 일주 같은 역사적인 일이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 시간이나 장소에 상관없이 정확한 방향을 알 수 있게 되어 이동하
오늘날 사람들은 길을 찾을 때 디지털 나침반이나 지피에스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합니다. 스마트 기기나 고자 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내비게이션 등에 들어 있는 지피에스 수신기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 자신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법
있게 합니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나침반의 발명 전에는 어떤 점이 불편했
을지 생각해 보고, 나침반의 발명 이후 달라졌을 점에 대
해 친구들에게 설명해 보도록 한다.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오늘날에는 정확한 방향과 위치를
목적지
알기 위해 나침반 대신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관심을
지피에스
현재 위치
디지털 나침반 지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들이 보내온
신호를 이용해 배, 비행기, 자동차 등의 가지고 찾아보도록 한다.
현재 위치를 알려 줍니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참고 자료
나침반의 발명 이후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90 ➊ 나침반의 역사
90 3. 자석의 이용
옛날에는 정확한 통신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나침반
초등과학3-1_③단원(67~90)OK.indd 90 2022-06-23 오후 6:39:20
과학자
의 발명은 수많은 탐험가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나
나침반의 역사 침반의 형태는 불편한 점을 개선하면서 다양하게 변했
다. 예를 들어 실에 바늘을 매달아 놓은 형태의 나침반
활동 방법 이 있었는데, 바람의 영향을 피하면서도 쉽게 가지고
• 자석과 큰 자석인 지구 사이에 밀어 내고 끌어당기는 힘 다닐 수 있도록 작은 상자 안에 넣어 개선하기도 했다.
에 의해 자석이 일정한 방향을 가리킨다는 나침반의 원리 또, 상자 안에 방향을 표시한 카드를 넣고 그 위에 자침
를 상기하게 한다. 을 부착한 나침반도 널리 쓰였다.
• 옛날 나침반과 오늘날 사용하는 디지털 나침반의 모습을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나침반은 바늘이
보여 주며 나침반의 모습도 변화되어 왔음을 알고 관심을
없어도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가지도록 한다.
• 오늘날 방향과 위치를 알려 주는 지피에스, 디지털 나침 ➋ 자석과 관련된 직업
반의 원리와 같은 어려운 내용을 깊이 다루기보다는 학생
• 물리학 연구원: 다양한 물리학적 기본 원리를 적용하
들의 수준에 맞게 흥미를 유발하는 정도로 제시한다.
여 전기, 자기, 광학, 음향, 빛 등 사람의 생활을 편
리하게 하는 기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한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출처: 한국직업능력연구원(www.career.go.kr)
나침반의 발명 이후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 착자원: 자석의 생산을 위해 착자, 탈자 검사 등을 통해
재료를 자기화하고 자력을 갖게 하는 일을 한다. 필요
지도 방향 나침반의 발명 전에는 어떤 점이 불편했을지 생각해 보고,
나침반의 발명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생각해 보도록 한 에 따라 측정기로 자력의 강도를 측정하여 설곗값에 맞
다. 나침반의 발명 이후 이전에는 할 수 없었던 어떤 일들을 할 수 있 는 자석이 생산되었는지 검사한다.
게 되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출처: 한국고용정보원(www.work.go.kr)
3. 자석의 이용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