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ele_science_3-2_tutor
P. 51

2   발견 학습 모형

                   과학자들은 관찰이나 측정 등을 통해 자신이 탐구하고자 하는 대상을 경험한 후에
                 는 자신이 수집한 자료를 탐색하여 개념을 형성하고 일반화한다. 과학자들이 과학                                 탐구 2 기체의 성질
                                                                                             안 물의 높이 변화를 관찰합니다.
                                                                                             4    페트병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 뚜껑을 열고, 탁구공의 위치 변화와 수조
                                                                                             5    관찰한 결과로 알 수 있는 공기의 성질을 이야기합니다.
                                                                                              공기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오! 나 점점
                                                                                                    커지는데?
                 개념이나 법칙 등을 발견하는 것은 이처럼 자료를 탐색하여 얻은 결과이다.                                   2    비닐장갑을 페트병의 입구에 고무줄로 묶고, 입구를 집게로 막습니다.
                                                                                            1    비닐장갑에 유성 펜으로 우리 모둠을 알리는 그림을 그립니다.
                                                                                            풍선을 부풀리기 위해 넣는 공기는
                                                                                            어떤 성질이 있을까요? 다음 탐구로
                                                                                            3    페트병을 똑바로 세우고 물이 담긴 수조의 바닥까지 밀어 넣습니다.
                                                                                            4    집게를 빼고 비닐장갑의 모양 변화를 관찰합니다.
                                                                                            알아봅시다.
                                                                                            5    관찰한 결과로 알 수 있는 공기의 성질을 이야기합니다.
                   발견 학습 모형은 귀납적인 방법에 바탕을 둔 학습 모형으로, 학생들이 자연 현상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하기 사고  탐구  의사 소통
                                                                                            『실험 관찰』 45 쪽~46 쪽
                                                                                               1
                                                                                        안전      반드시 실험용 장갑, 실험  준비물    물  수조  유성 펜  탁구공  아랫부분이   페트병 뚜껑  절연 테이프
                 이나 사물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규칙성을 발견하고, 개                           복을 착용해요.  2  비닐장갑  잘린 페트병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할 때
                                                                                        에는 다치지 않게 주의해요.
                                                                                             가위  비닐장갑  고무줄  집게  실험용 장갑 3  면장갑  실험복
                                                                                              고무줄
                                                                                            과정을 알아봐요  교32-322-P02
                                                                                                         처음
                 념을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따라서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을 최종적                              집게 탐구 1  공기가 공간을 차지하는지 알아보기
                                                                                                         물의 높이
                                                                                              1  모둠별로 물을 수조에 2/3 정도 담고 유성 펜으로 물의
                                                                                                 탐구 1   에서 사용한

                                                                                                 물이 담긴 수조를
                                                                                                 이용해요.
                                                                                              높이를 표시한 뒤, 물 위에 탁구공을 띄웁니다.
                                                                                          결과를 정리해요

                                                                                              2  아랫부분이 잘린 페트병의 뚜껑을 닫고, 페트병으로 탁구공을
                 인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최종적인 형태를 학생 스스로 발견하도록 요구                            아랫부분이  1   탐구 1 의 과정 3  , 4  에서 탁구공의 위치와 수조 안 물의 높이는 어떻게
                                                                                              덮습니다.
                                                                                           되나요?
                                                                                                   페트병의 아랫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감싸 다치지 않게 주의해요.
                                                                                         잘린 페트병
                                                                                                 3  페트병을 똑바로 세우고 수조 바닥 실험 보고서 만드는 방법

                                                                                                      『과학』 116 쪽 ̄117 쪽의
                                                                                          2   탐구 2 의 과정 3  , 4  에서 비닐장갑의 모양은 어떻게 되나요?
                                                                                          절연 테이프  까지 밀어 넣으면서 탁구공의 위치
                                                                                                      안내에 따라 실험 보고서를
                                                                                                      만들 수 있어요.
                                                                                          3   1 과  2 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공기의 성질은 무엇인가요?
                                                                                                처음  물의   변화와 수조 안 물의 높이 변화를
                 되는 상황에서 일어난다. 발견 학습 모형에서는 규칙성의 발견이나 개념 형성이 탐                               탁구공  높이  관찰합니다.
                                                                                                       2   기체      69
                                                                                       초등과학3-2_③단원(57~80)OK.indd   69
                                                                                        68       3. 물질의 상태
                 구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를 위한 전략적인 수업 준비가 사                          초등과학3-2_③단원(57~80)OK.indd   68  2022-06-23   오후 12:18:49
                                                                                                        2022-06-23   오후 12:18:46
                                                                                      ▲ 발견 학습 모형이 적용된 주제
                 전에 잘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수업에서 제시할 자료를 충분히 준비하고 자료를 제
                 시하는 순서도 구체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이 모형은 규칙성 발견이나 개념 형성·일반화를 강조하는데, 학습 지도의 계획 단계가 매우
                 중요하므로 교사는 이 모형에 적합한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학습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며 학생 스스로 조사하고 일반화할 수 있도록 교사는 주로 질문을 활용해야 한다.
                 발견 학습 모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학생들은 학습 자료를 탐색하여 자연스럽게 학습 문제를 파악한다.
                       탐색 및
                                    • 학습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고 학생들의
                      문제 파악
                                     호기심을 자극하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 교사는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여 제시하고, 학생은 주어진 자료를 자유롭게
                     자료 제시 및         탐색하여 기술한 후 그 결과를 발표한다.
                      관찰 탐색         • 학생들의 관찰 결과가 교사가 의도한 결과와 다르더라도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한다.
                                    • 이전 단계에서 학생의 관찰이 개념을 형성하거나 일반화하는 데 부족할 경우
                      추가 자료          보충 자료를 제시하여 관찰하고 탐색하게 한다.
                       제시 및         • 학생들이 더 많은 관찰을 하여 스스로 개념을 얻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므로
                      관찰 탐색          이전 자료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목표 개념을 명료화하거나 이전
                                     자료와 상반된 자료를 제시하여 이미 발견한 개념을 확신시켜 줄 수 있다.
                                    • 학생들은 관찰 탐색한 결과를 발표하고 토의하여 일반화나 규칙성을 발견
                     규칙성 발견          한다.
                     및 개념 정리        • 교사는 관찰된 사실들로부터 경향성이나 패턴을 발견하고 기술하도록 안내한
                                     다. 이렇게 기술된 내용을 개념 또는 일반화된 추리라고 한다.
                                    • 학생들은 자신이 발견한 규칙성이나 개념을 새로운 맥락이나 환경에 적용하여
                     적용 및 응용
                                     개념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발견 학습 모형의 요소와 단계(Kauchak & Eggen, 1980; 이범홍과 김영민, 1983)
                                                                           3. 과학과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