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 ele_science_4-2_tutor
P. 126
식물의 잎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을 세울 식물은 관다발의 유무에 따라 비관다발 식물과 관다
평가 목표
수 있다. 발 식물로 분류한다. 관다발 식물은 종자의 유무에 따
예시 답안 이외에 제시된 잎을 분류할 수 있는 라 비종자 관다발 식물과 종자식물로 분류한다. 종자식
인정 답안
분류 기준은 정답으로 인정한다.
물은 씨방의 유무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분류
평가기준 배점(%)
한다.
가장자리 모양, 끝 모양 등 잎의 생김
100 •비관다발 식물
새를 분류 기준으로 옳게 설명한 경우
유의 사항 비관다발 식물은 최초의 육상 식물이며, 관다발이 없
잎의 생김새를 분류 기준으로 세웠지
고 잎이나 뿌리와 같은 기관이 발달하지 않았다. 관다
만 제시된 잎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 30
기준이 아닌 경우 발을 통한 물질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물을 쉽
풀이 소나무의 잎은 전체적인 모양이 가늘고 길쭉하며 끝 모양 게 구할 수 있는 습지나 물가에 산다. 비관다발 식물은
이 뾰족하다. 토끼풀의 잎은 끝 모양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톱니 크기가 작고 포자로 번식한다. 물이끼, 솔이끼, 우산이
모양이다. 강아지풀의 잎은 전체적인 모양이 길쭉하며 끝 모양이 끼, 뿔이끼 등과 같은 선태식물이 있다.
뾰족하다. 단풍나무의 잎은 끝 모양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다.
참고 자료
➊ 식물 ▲ 물이끼 ▲ 솔이끼
식물은 동물과 달리 성장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물질
을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식물 세포에 있는 엽록체에서
물과 이산화 탄소,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만드
는 광합성이 일어나는데, 식물은 광합성으로 만든 물질
을 이용하여 살아간다. 식물은 건조한 육상 환경에 적
▲ 우산이끼 ▲ 뿔이끼
응하는 과정에서 뿌리, 줄기, 잎 등의 기관이 분화하고
•비종자 관다발 식물
관다발 조직이 발달하였고, 관다발을 통해 뿌리에서 흡
비종자 관다발 식물은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뚜렷
수한 물과 양분을 온몸으로 운반할 수 있다. 식물은 동
하다. 체관과 헛물관으로 이루어진 관다발을 가지고 있
물과 달리 근육계와 신경계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이동
으며 포자로 번식한다. 비종자 관다발 식물에는 석송,
할 수 없고,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성장이 멈추기도 하
부처손 등과 같은 석송류와 고사리, 쇠뜨기 등과 같은
지만 대체로 죽을 때까지 계속 자란다.
양치식물이 있다.
➋ 식물의 분류
비관다발 비종자 관다발 종자
식물 식물 식물
선태식물 석송류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
▲ 석송 ▲ 부처손
▲ 식물의 분류 ▲ 고사리 ▲ 쇠뜨기
124 1. 식물의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