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ele_science_4-2_tutor
P. 127

•종자식물                                            ➌ 잎의 구조
                  종자식물은 육상 생활에 가장 잘 적응하여 번성한                      •잎몸
                 식물로, 식물 중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다. 뿌리,                   광합성이 일어나는 엽록체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줄기, 잎의 구별이 뚜렷하고 관다발이 발달하였다. 종                    대체로 햇빛을 잘 받는 형태인 평평한 모양이다. 잎의                    1
                                                                                                                   단원
                 자로 번식하는데, 종자가 단단한 껍질에 둘러싸여 있                     뒷면에는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기공이 있다. 잎몸에
                 어서 건조하거나 추운 극한 환경에서도 잘 살아남아                      는 줄기의 관다발과 연결되어 있는 잎맥이 있다. 쌍떡
                 자손을 널리 퍼뜨릴 수 있다. 종자식물에서 자라서 종                    잎식물은 그물맥으로 되어 있고 외떡잎식물은 나란히
                 자로 발달하는 구조를 밑씨라고 하는데, 밑씨를 싸는                     맥으로 되어 있다.
                 씨방의 유무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분류한다.                     •잎자루
                  겉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싸여 있지 않고 겉으로 드                     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잎자루 속의 관
                 러나 있다. 겉씨식물에는 은행나무, 소나무, 전나무,                    다발은 줄기의 관다발과 잎의 관다발의 통로 역할을 한
                 주목 등이 있다.                                        다. 잎자루는 잎몸이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비틀어

                                                                  지는 것이 가능하다.
                                                                  •턱잎
                                                                   잎자루 아래에 있는 한 쌍의 잎사귀를 말한다. 속씨
                                                                  식물인 쌍떡잎식물에서는 쉽게 볼 수 있으나, 양치식물
                                                                  이나 겉씨식물에서는 볼 수 없다. 턱잎의 생김새는 가
                       ▲ 은행나무                   ▲ 소나무
                                                                  시 모양, 돌기 모양, 비늘 모양, 잎사귀 모양 등 다양하

                                                                  며, 어린잎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➍ 잎차례

                                                                   식물의 줄기를 따라 잎이 배열되는 방식을 잎차례라
                        ▲ 전나무                   ▲ 주목
                                                                  고 한다. 잎이 줄기에 달린 모양에 따라 마주나기, 어긋
                  속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싸여 있다. 오늘날 지구에                    나기, 돌려나기, 뭉쳐나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 가장 번성한 식물 무리로 꽃잎과 꽃받침이 잘 발달                    • 마주나기: 잎이 줄기의 한 마디에 서로 마주 하면서
                 되어 있다. 속씨식물은 떡잎의 수에 따라 떡잎이 한 장                     두 장 달린 것이다.
                 인 외떡잎식물과 떡잎이 두 장인 쌍떡잎식물로 분류한                     • 어긋나기: 잎이 줄기의 한 마디에 한 장씩 달리는 것
                 다. 외떡잎식물에는 벼, 보리, 옥수수 등이 있고, 쌍떡                    이다. 잎이 마디마다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나며, 호
                 잎식물에는 무궁화, 호박, 장미 등이 있다.                           생이라고도 한다.

                                                                  • 돌려나기: 줄기의 한 마디에 잎이 세 장 이상 방사상
                                                                    으로 달리는 것이다.
                                                                  • 뭉쳐나기: 줄기의 마디에 잎 여러 장이 뭉쳐서 달리는
                                                                    것이다.

                         ▲ 벼                    ▲ 옥수수








                                                                     마주나기       어긋나기       돌려나기       뭉쳐나기
                         ▲ 호박                   ▲ 장미                               ▲ 식물의 잎차례

                                                                                             1   식물 분류       125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