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 ele_science_4-2_tutor
P. 190

보충  밀도
               평가 목표    얼음이 녹을 때의 부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어떤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즉 단위 부피당 질량을 밀도라고
                        얼음이 녹으면 부피가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 보
               지도 사항                                         한다.
                        게 한다.
              풀이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 부피는 줄어든다.
                                                             ➋ 물을 얼릴 때 소금을 넣는 까닭
           3  물을 얼린 페트병의 무게가 350`g입니다. 페트병 안                  물이 얼려면 0`*C 이하로 온도가 낮아야 한다. 하
             의 얼음이 완전히 녹았을 때의 무게를 쓰고, 그렇게                    지만 실온에서 얼음만으로는 물의 온도를 0`*C 이하
             생각한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로 낮추기 어렵다. 이때 얼음에 소금을 넣으면 온도를
              예시 답안  350`g, 얼음이 녹을 때 무게는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20`*C 정도까지 낮출 수 있다. 이는 얼음이 녹는 과
                                                             정과 소금이 물에 녹는 과정이 모두 주변의 열에너지를
               평가 목표    얼음이 녹을 때의 무게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기 때문이다.
                        무게는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면 정답으로 인
               인정 답안
                        정한다.                                  얼음과 소금을 3`Û`1 비율로 섞으면 가장 효과적이다.
                                 평가기준            배점(%)       소금 이외에 질산 암모늄, 염화 칼슘, 질산 나트륨 등도
                        페트병의 무게와 까닭을 옳게 설명한                  얼음에 첨가하여 온도를 낮추는 데 사용할 수 있다.
                                                  100
               유의 사항    경우
                        페트병의 무게와 까닭 중 한 가지만
                                                   50
                        옳게 설명한 경우
              풀이  얼음이 녹아 물이 될 때 부피는 변하지만, 무게는 변하지 않는다.




            참고  자료
                                                                      ▲ 얼음에 소금을 넣지 않았을 때의 온도
           ➊ 물의 부피 변화와 밀도 변화
            물이 응고할 때 부피가 늘어나는 까닭은 물의 수소

           결합과 관련이 있다. 액체인 물은 분자 배열이 규칙적
           이지 않다. 그러나 물이 얼면 물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이때 물 분자의 수소 결합 때문에 빈 공간
           이 많은 육각형 구조를 이루므로 부피가 늘어난다. 부
           피가 늘어남에 따라 얼음의 밀도는 물의 밀도보다 작아
           지고,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된다.                                          ▲ 얼음에 소금을 넣었을 때의 온도



                                                             ➌ 물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질량과 부피 변화
                                                              물질의 상태가 변하더라도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자
                                                             체와 입자의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질량은 변하지 않는
                                                             다. 하지만 물질의 상태가 변하면 입자 사이의 거리가
              ▲ 물의 분자 배열                ▲ 얼음의 분자 배열
                                                             변하므로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융
                             ▲ 얼음물
                                                             해, 기화, 고체에서 기체로의 승화가 일어날 때에는 입
           보충  수소 결합
                                                             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한 분자 내 질소(N), 산소(O), 플루오린(F) 원자와 이웃한 분자 내 수
           소(H) 원자 사이에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분자             응고, 액화, 기체에서 고체로의 승화가 일어날 때에는
           간 힘을 수소 결합이라고 한다.                                 입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부피가 줄어든다.

           188        2. 물의 상태 변화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