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ele_science_5-1_teacher
P. 9
과학자는 우리 주변의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현상에서 궁금한 점이
문제 인식
생기면 이를 해결하려고 탐구를 합니다. 이때 탐구할 문제를 찾아 명확하게 나타
내는 것을 문제 인식이라고 합니다.
탐구 문제는 ‘왜 그럴까?’, ‘이것은 무엇일까?’, ‘ ̄하면 어떻게 될까?’와 같은
질문 형식으로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합니다. 탐구 문제를 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합니다.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해요
수업 도우미
•실제로 탐구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학생들이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해야
•탐구하고 싶은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합니다. 할 점을 충분히 숙지하게 한다. 이때 여러
가지 탐구 문제의 적절한 예와 적절하지
•탐구할 범위가 좁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않은 예를 함께 제시하면 학생들이 탐구
•너무 거창하거나 단순한 문제를 정하지 않아야 합니다.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생
생 각 각해
볼까요 『실험 관찰』 8 쪽
예시 답안 독성이 약해진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이 콜레라를
1 파스퇴르가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요? 가볍게 앓고 나서 곧 건강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2 파스퇴르가 궁금해했던 점을 탐구 문제로 정해 봅시다.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예시 답안 ‘왜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은 건강해졌을까?’를 탐구 • [과학적 사고력]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에서 파스
문제로 정했다. 퇴르가 관찰을 통해 발견한 것, 궁금하게 생각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며 문제 인식 과정을 이해
하게 한다.
• [과학적 탐구 능력] 문제 인식은 탐구의 방향과
콜레라균을 주사하면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임을 안내하고,
어떻게 될까?
탐구 문제는 질문 형식으로 명확하게 나타내게
지도한다.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 [태도] 탐구 문제를 정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 [탐구] 탐구할 내용이 잘 드러나게 과학자의 탐구
문제를 정했는가?
• [지식] 문제 인식의 뜻을 설명할 수 있는가?
과학자는 이렇게 해요
탐구는 문제 인식에서부터 출발합
니다. 과학 지식이나 관찰한 사실로
개념 영상
부터 새로운 생각이나 질문을 떠올
립니다.
콜레라를 가볍게
앓고 건강해진 닭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