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ele_science_5-1_tutor
P. 93

수업   흐름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  과학적 사고력   실험에서 얻은 과학적인 증거를 바탕
                  도입                                                  으로 하여 결론을 논리적으로 이끌어 내게 지도한다.

                 과학자의 실험 결과 떠올리기                                    •  과학적 탐구 능력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가설의              1
                                                                                                                   단원
                 •  파스퇴르의 실험 결과를 정리한 표와 그래프에서 알                       수용 여부를 판단하고, 결론을 이끌어 내게 한다.
                   수 있는 점은 무엇이었나요?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   콜레라균을 주사한 뒤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사한 닭들은 모두 건강하게 살아남았지만, 독성이                             결론을 도출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태도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하지 않은 닭들은 대부분 콜                             참여했는가?
                     레라에 걸려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관찰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가설이
                                                                   평가 탐구 옳은지 그른지 논리적으로 추론했는
                  전개
                                                                            가?
                 ➊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를 읽고 탐구 과정 정리하기
                                                                       지식 결론 도출의 뜻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이야기를 읽고 파스퇴르의 탐구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평가 피드백  결론을 도출하는 활동을 할 때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 도우미   과학 탐구 과정
                                                                  논리적으로 결론을 이끌어 냈는지 평가할 수 있다.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실험 설계, 실험, 자료 변환, 자료 해석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과학 탐구 과정을 정리하게 한다.
                                                                   정리
                 •  탐구 문제를 떠올려 봅시다.
                   -   “왜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은 건강                 결론 도출의 뜻과 과학자의 탐구 과정 정리하기
                     해졌을까?”라는 것입니다.                               •  결론 도출의 뜻을 설명해 봅시다.
                 •  탐구 문제를 해결하려고 세운 가설은 무엇인가요?                      -   실험 결과를 해석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을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은 독성이                       결론 도출이라고 합니다.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하지 않은 닭보다 콜레라에                    •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걸리지 않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   과학자는 자연 현상을 관찰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  탐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실험했나요?                         탐구 문제를 정합니다. 탐구 문제에 대한 가설을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과 독성이 약한                    세우고 변인을 통제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합
                     콜레라균을 주사하지 않은 닭들에게 콜레라균을                         니다. 실험 결과를 해석하여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
                     주사한 뒤 닭들의 건강 상태를 관찰했습니다.                         론을 도출합니다.
                 •  실험 결과를 통해 무엇을 알게 되었나요?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은 모두 건강                  형성  평가
                     하게 살아남았지만,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                   1   결론 도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표, 옳지 않은
                     하지 않은 닭들은 대부분 죽었습니다.                           것에 ×표 해 봅시다.

                 ➋  실험 결과에서 결론 이끌어 내기                               ⑴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

                 •  파스퇴르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어떤 결론을                        이다.                            (  ×   )
                   이끌어 냈을지 탐구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야기해 봅시                     ⑵  가설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하고 결론을 이끌어

                   다.    실험 관찰                                         내는 과정이다.                       (  ◯   )
                   -   “실험 결과에 의하면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⑶  변인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답의 형식으로

                     주사한 닭은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하지                          진술한다.                          (  ◯   )
                     않은 닭보다 콜레라에 걸리지 않는다.”라는 결론을                     풀이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은 가설 설
                     내렸습니다.                                         정이다.


                                                                                            1. 과학자의 탐구    91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