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0 - ele_science_5-2_tutor
P. 140
『과학』 36 쪽~37 쪽
과학 기술
공학
생태계를 연결하는 길, 생태 통로 생태 통로는 동물의 크기, 이동 방법 등의 특징을 생각해 동물의 종류
에 따라 다른 형태로 만듭니다. 만든 뒤에는 동물이 생태 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이동하는지 계속 관리합니다.
산을 깎아 도로나 철도를 만들면서 야생 동물의 서식지가 나누어져
동물이 나누어진 서식지 사이를 이동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서식지에 사는 생물의 종류와 수가 감소하고, 동물이 도로를 건너다
다치거나 죽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동물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생태 통로 형태
있게 생태 통로를 만들어 줍니다.
고라니, 멧돼지와 같은 큰 동물이 사는 곳에는
물이 있는 곳에는 개구리, 거북과 같은 동물이
육교형 생태 통로를 만듭니다.
이용할 수 있는 터널형 생태 통로를 만듭니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오른쪽과 같은 생태 통로가 잘못된 까닭을
찾고, 동물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태
통로를 그려 봅시다.
36 37 37
36
초등과학5-2_②단원(17~42)OK.indd 36 2022-04-08 오전 10:57:42 초등과학5-2_②단원(17~42)OK.indd 37 2022-04-08 오전 10:57:44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 활용 방법
오른쪽과 같은 생태 통
• 생태 통로는 도로나 철도를 만들면서 나누어진 서식
로가 잘못된 까닭을 찾고,
지를 연결하고 야생 동물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
동물이 안전하게 이용할
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이다. 서식지가 나누어졌을
수 있는 생태 통로를 그려
때 일어날 수 있는 생태계의 변화를 생각해 봄으로
봅시다.
써 생태 통로의 필요성을 탐구할 수 있다.
지도 방향 그림의 생태 통로를
• 동물의 행동 특성과 이동 방법 등에 따라 다른 형태
이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이야기함으로써 잘못된 점을 찾을 수
의 생태 통로를 만든다. 다양한 형태의 생태 통로 사
있다. 환경부 누리집(www.me.go.kr)에서 생태 통로의 우수 사례
진을 활용해 동물의 행동 특성과 이동 방법 등을 고
와 부적합 사례를 검색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려한 생태 통로를 설치해야 함을 알게 한다.
예시 답안 맞은편이 절벽으로 되어 있고 통로가 훤히 드러나 있어 동
• 생태 통로에 심는 식물은 주변 서식지와의 조화, 동
물이 생태 통로를 이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생태 통로에 식물을 심어
물의 먹이원, 서식지 또는 피난처로서의 기능 등을 고 서 동물이 이용하기 쉽게 해 준다.
려해 생태 통로를 이용하는 동물에 따라 결정된다.
• 생태 통로를 설치하기 전과 설치한 후의 모습을 조
사하고 비교하는 과정에서 생태 통로가 생태계 평형
에 기여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다. 또, 동물이 안전
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태 통로를 그리는 활동으로
생태계 보전을 위한 실천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138 제 2 부 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