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 ele_science_5-2_tutor
P. 163

구름의 생성 과정                                          상대적으로 따뜻해진 지표면 위의 공기는 팽창하면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의 기                    서 단위 부피당 무게가 가벼워지기 때문에 해당 지역은
                 압이 낮아져 부피가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 덩어                    저기압이 된다. 상대적으로 차가워진 지표면 위의 공기
                 리는 공기 내부의 에너지를 소모하여 기온이 낮아지는                     는 수축하면서 단위 부피당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데, 이를 단열 팽창이라고 한다. 단열 팽창 하는 공기                   해당 지역은 고기압이 된다.
                 덩어리가 계속 상승해 기온이 이슬점에 도달하면 수증                       고기압 지역에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고, 북반구에서

                 기가 응결한다. 그리고 기온이 0`*C 이하로 내려가면                   는 지표면 근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나간
                 얼음 알갱이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생성된 물방울이나                    다. 저기압 지역에는 상승 기류가 발달하고, 북반구에
                 얼음 알갱이가 모여 하늘에 떠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서는 지표면 근처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한다.                                              들어온다.                                            3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여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에                                                                      단원
                 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기단
                                                                    넓은 대륙이나 해양 같이 온도와 습도가 일정한 지
                                                                  역에 공기가 오래 머무르게 되면 지표면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성질을 가진 커다란 공기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데, 이를 기단이라고 한다. 기단은 만들어진 장소에 따
                  ▲ 지표면의 일부가 가열될 때       ▲ 공기가 산을 타고 오를 때         라 온도와 습도 등의 성질이 다르다. 고위도 지역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온도가 낮고, 저위도 지역에서 만들어

                                        따뜻한따뜻한                    진 기단은 온도가 높다.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
                                        따뜻한따뜻한       찬 공기찬 공기
                                         공기공기
                                         공기공기        찬 공기찬 공기     조하고, 해양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하다. 이러한 기
                                                                  단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그 지역의 날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공기가 저기압           ▲ 따뜻한 공기와 찬 공기가
                      중심으로 모일 때                 만날 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기압이 작용하는 방향                                      ①  시베리아 기단: 고위도의 시베리아 대륙에서 발생해
                   공기의 무게에 의해 단위 면적에 미치는 힘을 기압이                      한랭 건조하며, 겨울에 영향을 준다. 강한 북서풍을
                 라 한다. 기압은 중력 때문에 지표면을 향해서만 작용                       동반한다. 겨울철 한파와 봄철 꽃샘추위의 원인이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기를 이루는 여러 기체들은 모                       며, 서해안 지역 등에 폭설을 내리기도 한다.

                 든 방향으로 끊임없이 운동하기 때문에 기압은 모든 방                    ②  양쯔강 기단: 중국 남부 내륙 양쯔강 부근에서 발생
                 향으로 작용한다.                                           해 온난 건조하며, 봄과 가을에 영향을 준다.
                                                                  ③  북태평양 기단: 북태평양의 서부 아열대 해상에서

                                                                     발생해 고온 다습하며, 여름에 영향을 준다. 이로 인
                 고기압과 저기압                                            해 여름에 무더위가 지속되고,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물질 1`g의 온도를 1`*C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한다.
                 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지표면을 이루                    ④  오호츠크해 기단: 수온이 낮은 오호츠크 해상에서

                 는 물질에 따라 같은 양의 에너지를 받아도 지표면이                        발생해 한랭 다습하며, 초여름에 영향을 준다.
                 가열되는 정도가 다르다. 이러한 차이에 따라 지역 간                    ⑤  적도 기단: 적도 부근의 해상에서 발생해 고온 다습

                 에 기압 차가 생긴다.                                        하며, 주로 늦여름에 영향을 준다.


                                                                                        3. 날씨와 우리 생활    161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