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2 - ele_science_5-2_tutor
P. 162

단원의 배경지식                                       한편 액체 상태의 물이 에너지를 방출해 고체 상태

           날씨와 기후                                            의 얼음으로 변하는 것을 응고라고 하며, 그 반대 과정
             날씨는 특정 시각과 장소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대                     을 융해라고 한다. 고체 상태의 얼음이 에너지를 흡수
           기의 상태로, 기온, 기압, 습도, 바람, 구름(운량 및 운                 해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변하는 것이나 그 반대 과정
           형), 강수 등을 종합한 것이다.                                은 모두 승화라고 한다.
             기후는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                      건습구 습도계는 물의 상태 변화를 이용한 것이다.
           기 현상의 평균적이고 종합적인 상태를 말한다. 보통                      습구 온도계를 감싼 헝겊에서 물이 증발할 때 에너지를
           30 년간 날씨 통계를 기준으로 한다.                             흡수하므로 습구 온도가 낮아지고, 이를 이용하여 습도

           ①  기온은 대기의 온도이다. 지구의 기온은 대체로 태                    를 구한다. 이슬, 안개,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도
              양 복사 에너지양에 영향을 받아 변하며, 위도와 계                   물의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 여러 장소에서 공기 중의
              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수증기가 다양한 원인으로 에너지를 방출하여 응결해
           ②  기압은 공기의 무게에 의해 단위 면적에 미치는 공                    이슬, 안개, 구름을 형성한다.

              기의 힘이다. 기압은 고도,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지
              며, 바람 발생이나 구름 생성 등에 영향을 준다.

           ③  습도는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이다. 습도를
                                                             건습구 습도계
              나타내는 방법에는 상대 습도, 절대 습도가 있다. 상
                                                              건습구 습도계는 설치된 곳의 기온을 측정하는 건구
              대 습도는 특정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과 현재 공
                                                             온도계와 온도계의 액체샘 부분이 헝겊으로 싸여 있는
              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비로 나타낸다.
                                                             습구 온도계로 이루어져 있다. 습구 온도계를 감싼 헝
           ④  바람은 기압 차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수평적 흐

                                                             겊에서 물이 증발할 때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일반
              름이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며, 기압
                                                             적으로 습구 온도는 건구 온도보다 낮다.
              차가 클수록 풍속이 빨라진다.
                                                              습도가 낮을수록 물의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⑤  구름은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여 단열 팽창함에 따라
                                                             습구 온도는 더 낮아진다. 따라서 습도가 낮을수록 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구 온도와 습구 온도의 차가 커진다.
              변하여 하늘에 떠 있는 것이다. 하늘 전체에 대해 구
              름이 덮은 양인 운량이나 구름의 형태인 운형으로
              날씨를 나타낸다.
           ⑥  강수는 비, 눈, 우박 등 지상으로 떨어지는 다양한                   습도가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

              상태의 물 입자 또는 그 현상이다. 강수는 주로 구름                   습도는 건강, 안전, 산업 등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속 물방울이 병합되어 커지거나 얼음 알갱이 주변의                    준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으면 빨래가 잘 마르지 않
              수증기가 승화하여 얼음 알갱이가 성장하는 방식으로                    고, 음식물이 쉽게 상한다. 또, 벽이나 바닥 등에 곰팡
              일어난다.                                          이가 잘 생긴다. 습도가 낮으면 빨래가 잘 마르지만 피

                                                             부가 건조해지기 쉽다. 또, 호흡 기관의 점막이 건조해
                                                             져 호흡기 질환이 생기기 쉽고, 각종 바이러스로부터
           물의 상태 변화                                          취약해진다. 건조한 날씨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계절
             물은 얼음(고체), 물(액체), 수증기(기체)의 세 가지                 에는 산불이 발생할 위험도 높아진다.
           상태로 존재하며, 에너지의 출입에 따라 상태가 변한다.                     다만 습도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사례들은 대부분 습
             액체 상태의 물이 에너지를 흡수하면 기체 상태의 수                    도의 영향뿐만 아니라 기온, 일조량, 공기 상태 등 다양
           증기로 변하며 이를 증발이라고 한다. 반대로 기체 상                     한 기상 조건과 주변 환경과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나타
           태의 수증기가 에너지를 방출하면 액체 상태의 물로 변                     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현상들이 습도의 영
           하며 이를 응결이라고 한다.                                   향만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추가로 안내할 수 있다.


           160     제 2 부 지도의 실제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