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 ele_science_5-2_tutor
P. 276
단원의 배경지식 H±
H ±
N
산과 염기의 정의 Cl H + H H N + Cl—
H H H H
산은 신맛이 나는 물질이고, 염기는 쓴맛이 나는 물질
HCl NH_3 NH_4&^+ Cl^-
이라는 비과학적 정의부터 체계적인 과학적 정의까지 ▲ 염화 수소와 암모니아의 반응
산과 염기의 정의는 다양하다. 또, 산과 염기의 정의는 •루이스 정의
시대마다 조금씩 달랐으며 이전 시대의 정의를 보완한 루이스(Lewis, G. N., 1875 ̄1946)는 비공유 전자
정의로 변해 왔다. 대표적인 산과 염기의 과학적 정의 쌍을 받는 물질을 산, 비공유 전자쌍을 주는 물질을 염기
로는 아레니우스 정의, 브뢴스테드·로리 정의, 루이스 로 정의하였다. 플루오린화 붕소(BF_3)와 암모니아(NH_3)
정의가 있다. 산과 염기에 대한 과학적 정의는 초등학교 의 반응에서 비공유 전자쌍을 받는 플루오린화 붕소는
수준을 넘어서므로 이 단원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산이고, 비공유 전자쌍을 주는 암모니아는 염기이다. 이
•아레니우스 정의 정의에 따르면 물질 사이에 수소 이온(H^+)이 이동하지
아레니우스(Arrhenius, S. A., 1859 ̄1927)는 물 않는 반응에서도 산 염기 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에 녹아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을 산, 물에 녹아 비공유 전자쌍
F H F H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을 염기로 정의하였
F B + N H F B N H
다. 그러나 아레니우스의 정의는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
(H^+)이나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에만 적용 F H F H
▲ 플루오린화 붕소와 암모니아의 반응
된다. 암모니아(NH_3)와 같이 염기이지만 분자 자체에
서 수산화 이온을 내놓지 않는 물질은 설명할 수 없다.
또, 기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산과 염기의 반응은 설명
산성과 염기성
하기 어렵다.
•산성
•브뢴스테드·로리 정의 산 수용액은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은색으로 변
브뢴스테드(Br¨ onsted, J. N., 1879 ̄1947)와 로리 하게 하고,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깔을 변하지 않게
(Lowry, T. M., 1874 ̄1936)는 수소 이온(H^+)의 한다. 또, 물에 녹아 이온화되므로 수용액은 전류가 흐
이동으로 산과 염기를 정의해 아레니우스 정의가 수용 른다. 산 수용액이 아연, 마그네슘 등의 금속과 반응하
액에서만 적용되는 한계를 해결하였다. 즉, 다른 물질 면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또, 달걀 껍데기나 대리암의
에게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을 산, 다른 물질로 주성분인 탄산 칼슘과 반응하면 이산화 탄소 기체가 발
부터 수소 이온(H^+)을 받는 물질을 염기로 정의하였다. 생한다. 산성이 나타나는 까닭은 산 수용액에 공통으로
염화 수소(HCl)와 물(H_2&O)의 반응에서 염화 수소는 들어 있는 수소 이온(H^+) 때문이고, 산마다 다른 성질이
수소 이온(H^+)을 내놓으므로 산이고, 물은 수소 이온 나타나는 까닭은 음이온이 다르기 때문이다.
(H^+)을 받으므로 염기이다.
•염기성
H±
± 염기 수용액은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른색으로
Cl H + O O + Cl—
H H H H H 변하게 하고,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색깔을 붉은색으로
변하게 한다. 또, 물에 녹아 이온화되므로 수용액은 전
HCl H_2&O H_3O^+ Cl^-
▲ 염화 수소와 물의 반응 류가 흐른다.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어 손으로
브뢴스테드·로리 정의는 수용액에서 일어나지 않는 만지면 미끈거리고, 염기 수용액에 삶은 달걀흰자나 두
반응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체 상태의 염화 수소(HCl) 부를 넣으면 녹아 흐물흐물해진다. 염기성이 나타나는
와 암모니아(NH_3)의 반응에서 염화 수소는 수소 이 까닭은 염기 수용액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산화 이온
온(H^+)을 내놓으므로 산이고, 암모니아는 수소 이온 (OH&^-) 때문이고, 염기마다 다른 성질이 나타나는 까닭은
(H^+)을 받으므로 염기이다. 양이온이 다르기 때문이다.
274 제 2 부 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