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 ele_science_6-1_tutor
P. 70

단원의 배경지식                                       6학년 1학기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단원에

           탐구 단원 구성 의도                                       서는 과학자처럼 한 가지 주제로 탐구를 수행하면서 모든
           ① 탐구 단원 구성 배경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을 적용해 보며 각각의 기능과
             과학적 탐구 능력은 과학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활용 방법을 익힐 수 있게 하였다.
           조사, 토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 해석, 평                   ③ 탐구 단원 지도 시 유의 사항
           가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얻거나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학적 탐구를 위해 ‘문제 인식 → 가설 설정 → ……
           능력을 말한다.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과학적 탐구                    → 결론 도출’처럼 항상 정해진 단계를 따라야 한다거
           능력을 향상하려면 과학 탐구 과정에서 사용하는 탐구                      나, 지식을 상관하지 않고 탐구 기능 중심으로 탐구를
           기능을 체계적으로 익힐 필요가 있다. 과학에서 탐구                      수행할 수 있다거나, 과학 탐구 기능이 독립적으로 작
           기능이 중요한 까닭은 과학이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통                     용한다는 생각은 과학적 탐구에 대한 대표적 오개념이
           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과학 탐구를 행함으로써 이                     다. 탐구 대상에 따라 탐구 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며,
           루어지고, 탐구 기능의 발달을 통해 새로운 문제 상황에                    탐구의 단계도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보다 단계를 거슬
           서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러 올라가거나 특정 단계를 반복해 수행하는 경우가
           이 길러지기 때문이다. 특히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은 고                    대부분이다. 또한 과학 탐구 기능은 독립적이거나 위
           차원적 사고 능력을 요구하며, 과학 지식을 익히고 과                     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
           학 탐구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으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과학적 탐구를 위해서
             그러나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는 탐구 대상에 적절한 탐구 방법을 찾고, 관련 지식과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탐구는 차시별로 제시된 과학 지                     과학 탐구 기능을 통합해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식을 확인하기 위해 안내된 탐구가 대부분이며, 탐구                     필요하다.
           기능의 의미와 활용 방법을 자세히 다루고 있지 않다.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탐구 기능을 자연                     과학과 내용 체계에 제시된 8 가지 기능의 의미
           스럽게 익히기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이 탐구 기능을 이해                     과학과 내용 체계에 제시된 8`가지 기능은 수업 뒤
           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게 구체적이고 직접적                     학생들이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나타낸 것으로, 과학 교과 고유의 탐구 과정 및 사고
             이런 까닭으로 5학년 1학기와 2학기, 6학년 1학기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의 첫 단원에 ‘과학자의 탐구’, ‘재미있는 나의 탐                 에서는 과학의 교수·학습 방향에서 “기초 탐구 과정
           구’,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를 구성해 탐구 과정을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등)과 통합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을                      탐구 과정(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해석,
           배우고 익힐 수 있게 하였다.                                  결론 도출, 일반화 등),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모형의 개발과 사용,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등의

           ② 교과서 탐구 단원의 구성                                   기능을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지도한다.”라고 밝히고
             5학년 1학기 ‘1. 과학자의 탐구’ 단원에서는 학생들이                 있다. 과학과 내용 체계에 제시된 8`가지 기능은 기초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을 처음 접한다는 점을 고려해 과                     탐구 과정 및 통합 탐구 과정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학자의 탐구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 과정과 그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에 필요한 기능의 범위를 확장하고 과학
           사용되는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의 뜻을 스토리텔링 방식                     지식과 기능이 통합적으로 병행되어 과학적 탐구가 이루
           으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하였다.                             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5학년 2학기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단원에서는                   합리적이다. 5 ̄6학년군 『과학』에서는 통합 과학 탐구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유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을                     기능을 중심으로 다루지만, 그러한 과정을 8`가지 기능
           통해 5학년 1학기에서 학습한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의                     을 설정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과학과 내용
           일부를 실제 탐구 과정에 적용해 보게 하였다.                         체계에 포함된 8`가지 기능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68     제 2 부 지도의 실제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