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ele_science_6-1_tutor
P. 72
모형의 사전적 의미는 ‘실물을 모방하여 만든 물건’ ⑦ 결론 도출 및 평가
으로, 실제 대상을 대신하는 모형을 통해 실제 대상의 자료 해석이 주어진 자료의 의미를 기술하는 과정이
특성을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모형에는 다이어 라면, 결론 도출은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탐구 문
그램, 실물을 본떠 만든 모형, 수학적 표상, 비유, 컴퓨터 제에 대한 답을 얻거나 가설이 맞는지 판단을 내리는
시뮬레이션 등이 있으며, 이들 모형은 증거에 기반을 것이다. 결론 도출은 탐구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요약
두고 개발되기 때문에 모형이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정리가 아니라 탐구 주제에 대한 확정적인 진술이므로,
증거가 발견되면 모형은 수정된다. 모든 모형은 근사와 간단명료하게 진술하고 과도한 예측이나 추측, 논리적
가정을 포함하고 있어 모형의 타당도와 예측력을 제한 비약이나 무리한 주장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므로, 실제 탐구 대상과 모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결론 도출은 탐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거나 가설의 옳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은 탐구 고 그름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가설 검증 과정을 포함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탐구 대상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하며,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변인
자료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사이의 규칙성이나 관계에 대해 최종적인 판단을 내린다.
소통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평가는 여러 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나 여러
모형의 개발과 사용에는 제시된 모형 이해하기, 모형 형태로 표현된 정보에 관해 내용 및 방법의 신뢰성, 정
의 한계 확인하기, 대상을 모형으로 나타내기, 모형을 확성, 편향성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에는
사용하여 과학적 원리 서술하기, 자신이 만든 모형을 과학 관련 글이나 보고서에 나타난 주장, 방법, 설계의
이용하여 미래 상황 예측하기, 모형을 사용하여 탐구 타당성과 신뢰성 평가하기, 과학 관련 글에 수록된 가
대상에 관련된 인과 관계 또는 상호 작용 검증하기 등의 설, 자료, 결론을 서로 대립하는 정보와 설명에 비추어
활동이 포함된다. 평가하기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⑥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⑧ 의사소통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은 증거에 기반해 자신의 의사소통은 과학 탐구의 모든 과정에서 사용하는
주장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토론은 어떤 문제에 대해 기능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 정보, 생각, 감정,
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 여러 사람이 각자의 의견을 내 태도 등을 다른 사람과 주고받으며 그 의미를 이해하
세워 그것의 정당함을 논의하는 것이며, 논증은 어떤 는 것이다. 의사소통은 구두로 주고받는 것뿐만 아니라
주장이나 이론의 옳고 그름을 까닭이나 근거를 들어 글, 그림, 표, 그래프, 도면, 모형, 전시물처럼 비언어적
밝히는 것이다. 과학에서 자연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에 수단도 포함한다. 의사소통을 잘한다는 것은 말하는
대해 타당한 근거를 들어 논증하고, 언어적 상호 작용 사람이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며, 듣는 사람이 말하는
을 통해 서로의 관점과 견해를 공유하는 과정은 필수적 사람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한다는 것을 뜻한다. 효과
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설명하는 내용을 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정확한 언어를 사용해 간단
논증할 수 있어야 하고, 자신과 타인의 주장에 대해 논 명료하게 설명하고, 상황에 적합한 자료를 근거로 사용
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하여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전체 학급 또는
또, 다른 사람의 과학적 논증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소집단 토론 활동, 발표 자료를 활용한 구두 발표, 실험
반론을 제시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나 관찰 또는 조사 보고서 작성 등의 과학 글쓰기 활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에는 다양한 증거를 바탕 동은 의사소통 기능을 계발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으로 하여 현상의 원인 탐색하기, 현상의 원인을 인과 알려져 있다. 의사소통에는 구체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
관계로 제시하기, 현상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생각 중 및 결과, 통찰, 설명 등에 대해 의견 교환하기, 다른 사
에서 합당한 것 선택하기,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람의 서술 및 설명을 이해하고 비평하기, 컴퓨터나 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한 증거를 바탕으로 하여 설명하기, 청각 기기처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시되는 과학 기술
동료들과 비평을 주고받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나 모형 정보를 이해하고 표현하기, 사실이나 증거에 기반해
을 지지하거나 반박하기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논증하기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70 제 2 부 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