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ele_science_6-1_tutor
P. 77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참고 자료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가설의 중요성과 생성 과정
가설을 세우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가설은 탐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한 임시적인 설
태도 1
참여했는가?
명, 즉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
단원
관찰 탐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설을 이다. 가설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면서 생긴 의문에서
탐구
평가 세울 수 있는가?
과학적 설명으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과
촛불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지식 학 탐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가설을 생성하는
까닭을 찾을 수 있는가?
과정은 귀납적 추론을 바탕으로 한 가설 생성 모형으로
평가 피드백 촛불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고려하여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과학적 가설의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적절하게 세웠는지와 관련된 평가를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① 의문 상황 ② 경험 상황
정리
가설을 적절하게 세웠는지 점검하기
• 가설을 적절하게 세웠는지 점검하려면 무엇을 확인
④ 가설적 설명자 ③ 원인적 설명자
해야 할까요?
- 탐구를 통해 알아보려는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났
▲ 과학적 가설 생성 모형
는지 확인합니다. ① 현재의 의문 상황이 가지는 특성을 탐색하는 단계
-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간결하게 표현했는지 확인 ② 유사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과거 경험 상황을 떠올려
합니다. 비교하고 분석하는 단계
• 우리 모둠이 세운 가설이 적절한지 점검해 봅시다. ③ 경험 상황에서 현재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원인적
- 탐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절합니다. 설명자를 찾거나 선택하는 단계
④ 선택한 원인적 설명자를 가설적 설명자로 차용하는
형성 평가
단계
1 두리는 영화를 보다가 궁금하게 생각한 것을 탐구 문 (출처: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제로 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워 탐구
해 보기로 했습니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가설 설정의 지도 단계
말을 써 봅시다.
• 1`단계: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자세하게 써 본 뒤, 범
궁금한 점 왜 양초마다 촛불의 길이가 다른 걸까? 위를 좁혀 과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탐구 문제를
▼ 정하게 한다.
양초 ( ㉠ )이/가 촛불의 길이에 영향
탐구 문제 • 2`단계: 탐구 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을 설계하는 데 필
을 미칠까?
요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찾아보게 한다.
▼
• 3`단계: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가설 형식
양초 ( ㉠ )이/가 ( ㉡ )수록 양초
으로 써 보게 한다.
가설 설정 가 잘 타서 촛불의 길이가 ( ㉢ ) 것
이다. [가설의 예]
예시 답안 •㉠ 심지의 굵기, ㉡ 굵을, ㉢ 길 ( 벌집에 사는 벌의 수 )가 많아질수록 밀집을 방지
독립변인 까닭(설명자)
•㉠ 심지의 길이, ㉡ 길, ㉢ 길
하기 위해 ( 부화하는 벌의 수 )가 감소할 것이다.
풀이 일상생활이나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현상 중에서
종속변인
궁금한 점을 탐구 문제로 정한다. 가설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관계가 나타나게 진술한다. (출처: 이경호 외 9명, 2005)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