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ele_science_6-1_tutor
P. 73

과학 탐구 방법                                         모세관 현상
                   이 단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 방법은 다음과                       양초에 불을 붙였을 때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받을
                 같이 도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탐구 결과에 따라 특정                   수 있는 까닭은 모세관 현상 때문이다. 모세관 현상은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만약 실험 방법에 문제가 있었                   가느다란 관(모세관)을 액체 속에 넣어 세웠을 때 액체가                  1
                                                                                                                   단원
                 다면 실험 방법을 고쳐 다시 실험하고, 가설과 결과가                    모세관을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이다. 이때
                 일치하지 않는다면 가설을 수정하여 탐구를 다시 시작할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정도는 모세관의 반지름이 작을

                 수도 있다. 또는 새로운 의문으로부터 다른 탐구를 시작                   수록 크다.
                 할 수도 있다.                                           물이 담긴 수조에 가는 유리관을 세우면 물 분자
                                                                  사이의 응집력보다 물 분자와 유리관 사이의 힘인 부착
                              자연 현상 관찰
                                                                  력이 커서 수면의 가장자리가 유리관 벽에 붙어 위로
                                                                  올라가 물의 표면이 ∪ 형태가 된다. 이때 유리관이 가늘
                                문제 인식
                                                                  수록 유리관 내부 수면의 높이가 높아진다. 수은이
                                가설 설정                             담긴 수조에 가는 유리관을 세우면 수은 원자 사이의
                                                                  응집력이 수은과 유리관 사이의 부착력보다 커서 수은
                             실험 설계 및 수행                           의 표면이 ∩ 형태가 된다. 이때 유리관이 가늘수록 유
                                                       가설         리관 내부 수은 면의 높이가 낮아진다. 천이나 종이에
                                                       수정
                           자료 변환 및 자료 해석                          물이 스며드는 것, 양초 심지에 촛농(액체 상태 양초)이
                                                                  스며드는 것 등은 모세관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가설 일치            가설 불일치
                                                                    유리관이 가늘수록 수면이         유리관이 가늘수록 수은 면이
                                                                    높이 올라간다.              많이 내려간다.
                       결론 도출




                 양초가 타는 원리
                                                                      ▲ 물에 가는 유리관을          ▲ 수은에 가는 유리관을
                   양초 심지에 불을 붙이면 그 열에 의해 고체 상태의                          세운 경우                   세운 경우
                 양초가 녹아 액체 상태(촛농)가 된다. 이때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 상태의 양초가 심지를 타고 올라가서 기화
                 하고, 기체 상태의 양초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불꽃을 내며 탄다.
                                                                      단원의 참고 도서 및 참고 누리집

                                              파랗고 희미한 불꽃          • 가켄 플러스(이보형 외 2`명 옮김), 『초등 과학 백과』,
                                              (겉불꽃)
                                                                    동아시아사이언스, 2021.
                                              노랗고 밝은 불꽃           • 낸시 포브스, 배질 마혼(박찬, 박술 옮김), 『물리학의
                                              (속불꽃)
                                                                    두 거장 패러데이와 맥스웰』, 반니, 2015.
                    양초가 기체가 된다.
                                                                  • 마이클 패러데이(이은경 옮김), 『촛불 하나의 과학』,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                 공기의 흐름(대류)           인간희극, 2019.
                 상태의 양초가 심지를 따
                 라 올라간다.                       액체 상태의             • 장명덕 외 5`명,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
                                               양초 흐름
                                                                    미프레스, 2019.
                                                                  •영국왕립연구소(www.rigb.org)
                                  ▲ 양초의 불꽃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


                                                                                   1. 과학자처럼 탐구해 볼까요    71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