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ele_science_6-2_teacher
P. 79
과학과 핵심 역량 지도 방안
• [과학적 사고력] 뼈와 근육 모형의
납작한 빨대와 비닐봉지가 우리 몸의
2 뼈와 근육 모형을 만들어 봅시다.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지 추론하게
한다.
1 납작한 빨대 ㉮와 ㉯의 뚫린 구멍에 할핀을 꽂아 빨대를 연결합니다. • [과학적 탐구 능력] 인체 골격 모형을
관찰하고, 뼈와 근육 모형을 만들어
2 비닐봉지의 막힌 부분은 셀로판테이프로 감고, 벌어진 부분은 주름 빨대를 변화를 관찰하게 한다.
넣은 뒤 공기가 새지 않게 셀로판테이프로 감습니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뼈와 근육
모형의 변화를 바탕으로 하여 팔이
3 납작한 빨대 ㉯의 끝에 주름 빨대를 감은 비닐봉지의 끝을 맞추고, 비닐봉지의 구부러지고 펴지는 원리를 설명하게
한다.
양쪽 끝을 셀로판테이프로 감아 납작한 빨대 ㉮와 ㉯에 각각 붙입니다.
1 2 3
㉮ 비닐봉지
셀로판 셀로판테이프로 붙인 부분
테이프 주름
빨대
㉮ ㉯
할핀 ㉯
4 손 그림을 납작한 빨대 ㉮에 붙입니다.
3 뼈와 근육 모형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변화를 관찰하고,
비닐봉지의 길이를 측정해 봅시다. 손 그림
비닐봉지에서 셀로판테이프를 붙인 양쪽 끝을 뺀 나머지 부분의 길이를
측정해요.
4 뼈와 근육 모형에서 납작한 빨대와 비닐봉지는 각각 우리 몸의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오개념 지도 근육의 길이 변화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
근육은 실제로 에너지를 이용하여 길이가 변한다는 것을 • [태도] 뼈와 근육 모형을 만들어 관찰할 때 적극적으로
정리해 볼까요 설명해 근육이 뼈와 근육 모형의 비닐봉지처럼 바람에 참여했는가?
의해 길이가 변한다는 오개념이 생기지 않게 한다. • [탐구] 인체 골격 모형을 관찰하고, 뼈와 근육 모형을
뼈와 근육 모형에 바람을 불어 넣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바탕 만들어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변화를 관찰했는가?
• [지식] 팔이 구부러지고 펴지는 원리를 설명했는가?
으로 하여 팔이 어떻게 구부러지고 펴지는지 설명해 볼까요?
근육은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면서 뼈를 움직여 우리 몸이 움직 우리 몸 병풍책에서
뼈와 근육을 찾아
이게 합니다. 도움 영상 팔이 구부러지고 펴지는 원리 • 뼈(➋)는 우리 몸의 형태를 완성해요.
근육의 길이 변화로 팔이 움직이는 만들고 몸을 지지한다.
원리에 대한 영상이다. • 근육(➊)은 뼈를 움직여 우리
개념 영상
몸이 움직이게 한다.
확인 해요
1 우리 몸에 있는 뼈의 생김새는 모두 같습니다. ( ◯, )
2 의사소통 능력 우리 몸에 뼈와 근육이 있어 할 수 있는 것을 이야기해 봅시다.
[지도 방향] 우리 몸이 뼈와 근육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이야기하게 한다.
예시 답안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춤출 수 있다.
풀이 우리 몸은 뼈와 근육이 있어서 서거나 뛰는 등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다.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