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ele_science_6-2_tutor
P. 25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물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거나 열전도 빠르기를 비교하는 등 이 단원에서는 실험 활동

                    이 많으므로 실험 보고서 작성을 통해 수행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2) 태양계와 별
                   이 단원에서는 태양계와 별이라는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폭넓은 관심과 호기심에서 출발하

                 여, 행성을 중심으로 한 태양계의 특징과 별자리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태양계와 우주에 대해
                 탐구하려는 태도를 갖도록 한다. 태양이 지구의 에너지원임을 이해하고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의 크기와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비교하여 태양계의 구조와 광대함
                 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별과 별자리의 의미를 알고, 북극성을 찾는 활동을 통해 별자리가
                 방위를 찾는 방법으로 실제 이용되고 있음을 탐구하도록 한다.



                    • 6과02-01  태양이 지구의 에너지원임을 이해하고 태양계를 구성하는 태양과 행성을 조사
                     할 수 있다.
                    • 6과02-02  별의 의미를 알고 대표적인 별자리를 조사할 수 있다.

                    • 6과02-03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탐구 활동
                     밤하늘에서 행성과 별의 관측상의 차이점 찾아보기

                     태양계 행성들의 상대적 크기와 거리 비교하기
                     별자리를 이용한 방향 찾아보기

                 (가) 학습 요소

                   • 에너지원으로서 태양, 태양계 행성, 행성의 크기와 거리, 별의 정의, 별자리, 북쪽 하늘
                    별자리, 북극성


                 (나) 성취 기준 해설
                   • 6과02-01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의 표면적인 특징 위주로 조사하고, 행성의 상세한
                    물리적 특징은 다루지 않는다. 태양과 행성의 실제 크기나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실제
                    거리, 행성의 질량, 자전 속도, 대기 성분 등과 같은 물리량은 다루지 않는다.
                   • 6과02-02  별의 의미는 행성과 비교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라는 수준에서만 다룬다.

                    대표적인 별자리는 학생들이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북극성 주변의 별자리를 다루며,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짓지 않는다.
                   • 6과02-03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게 함으로써 별자리가
                    방위를 찾는 데 이용됨을 다룬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태양계와 별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호기심의 대상으로, 학생들이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1. 2015 개정 교육과정    23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