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3 - ele_science_6-2_tutor
P. 353

1  사파(SAPA)에 기초한 탐구 과정 기능


                   사파(SAPA)에서는 과학 탐구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을 ‘기초 탐구 과정 기능(basic
                 process skills)’과 ‘통합 탐구 과정 기능(in&tegrated process skills)’으로 구분해 제시했
                 다. 이 중 기초 탐구 과정 기능에는 관찰하기(observation), 공간 및 시간 관계 사용하기
                 (using space /time relationships), 수 사용하기(using numbers), 측정하기(measuring),

                 분류하기(classification), 의사소통하기(communicating), 예상하기(predicting), 추론
                 하기(i&nferring)가 포함되며, 통합 탐구 과정 기능에는 가설 설정하기(formulating
                 hypothesis), 변인 통제하기(controlling variables), 자료 해석하기(in&terpreting
                 data), 조작적으로 정의하기(defining operationally), 실험하기(experimenting)가 포
                 함된다.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제6 차 교육과정 이후 이 내용이 명시적으로 등장했고,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탐구 과정 기능을 연습할 수
                 있는 단원이 별도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탐구 과정 기
                 능에 대해 설명하며, 이에 국정 과학 교과서에 과학 탐구 단원이 구성되었다. 2015 개정 과
                 학과 교육과정과 국정 과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탐구 과정 기능은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

                 과 ‘통합 과학 탐구 과정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기초 과
                 학 탐구 과정 기능을 주로 활용한 활동들이 적합하고, 초등학교 중학년 이상에서는 통합 과
                 학 탐구 과정 기능을 주로 활용한 활동들이 적합하나 학년 수준에 너무 얽매일 필요는 없다.
                 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
                   기초 과학 탐구 과정 기능은 관찰, 분류, 측정, 추리, 예상, 의사소통이다.
                                               교56-ㅣ05


                                 분류                        추리                      의사소통
                  교 56 -ㅣ 03




                                                                               교56-ㅣ02


                    관찰                        측정                       예상



                 ⑴   관찰: 관찰은 사람의 오감(시각, 후각, 청각, 촉각, 미각)이나 감각을 확장하는 도구를 사

                   용해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얻는 과정이다. 즉,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한다
                   는 것은 눈, 코, 귀 등의 감각 기관을 사용해 사물이나 현상의 색깔, 냄새, 소리, 질감 등
                   을 주의 깊게 탐색하는 것이다.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해 얻은 정보는 그에 대한 흥미를 유
                   발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해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2. 과학 탐구 과정    351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