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 ele_society_5-1_tutor
P. 212
1~2 차시
교과서 90~91 쪽
1 옛사람들의 사상을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정책 살펴보기
알아볼까요 『세종실록』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정책을 살펴보고, 나라가 어떤 일을 했는지 써
보자.
집을 잃은 어린아이가 있으면 제생원이라는 기관으로 보내 그곳에서 먹여
조선 시대에 사람들은 신분이나 남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대우를 기르도록 하였다. - 세종 즉위년 8월 19일 -
받았다. 하지만 당시에도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사람이라면 누구
관청의 묵은 쌀과 콩을 팔아서 굶주린 백성을 구하도록 하였다.
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간 존중 사상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조 - 세종 1년 5월 24일 -
선 시대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도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
감옥 안이 청결하지 않아 죄수들이 질병에 걸려 죽는 일이 발생하니, 감옥의
항을 찾아볼 수 있다. 위생 관리에 더욱 신경 쓰도록 하였다. - 세종 11년 2월 8일 -
운명을 점치는 학문을 하는 시각 장애인 중에서 젊고 영리한 사람을 뽑아
『경국대전』 에서 인간 존중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세종 27년 3월 5일 -
사상이 반영된 조항
노비 조선 시대의 가장 낮은 신분. 사례 대상 이들을 위해 나라가 한 일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
람에게는 관청에서 약을 준다. 집을 잃은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얻어 출산을 앞둔 노비에게는 출 집을 잃은 어린아이에게 음식과 머물 곳을 제공하였다.
어린아이
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봐 줄 산 전에 한 달, 출산 후에 50일
사람이 없는 노인에게는 옷과 의 휴가를 준다. 그 남편에게는
먹을 것을 내준다. 출산 후에 15일의
휴가를 준다.
세종실록 조선 세종 때의 역사를 기록한 책.
조선 시대에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 ) 사상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90 90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1. 인권을 존중하는 삶 91 91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을 이해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수업의 흐름 • 조선 시대에 대해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을 말해 볼까요?
도입 조선 시대에 대해 알고 있는 것 말해 보기 – 세종 대왕과 같이 왕이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 양반이 있었습니다.
➊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 알아보기
➋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 – 남녀가 하는 일이 달랐습니다.
전개 살펴보기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조선 시대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➌ 탐구해요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자유롭게 이야기하되, 오늘날과 다른 사회 모습을 떠올릴 수 있
정책 살펴보기
게 한다.
정리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 정리하기
전개
➊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 알아보기
• 조선 시대는 어떤 사회였나요?
– 신분에 따라 사람들이 다른 대우를 받았습니다.
210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