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 ele_society_5-1_tutor
P. 212

1~2 차시
                                                                                        교과서  90~91   쪽
               1       옛사람들의             사상을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정책 살펴보기

                       알아볼까요                                             『세종실록』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정책을  살펴보고,  나라가  어떤  일을  했는지  써
                                                                      보자.
                                                                            집을 잃은 어린아이가 있으면 제생원이라는 기관으로 보내 그곳에서 먹여
                        조선  시대에  사람들은  신분이나  남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대우를       기르도록 하였다.            - 세종 즉위년 8월 19일 -
                       받았다. 하지만 당시에도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사람이라면 누구
                                                                            관청의 묵은 쌀과 콩을 팔아서 굶주린 백성을 구하도록 하였다.
                       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간 존중 사상을 실천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조                                  - 세종 1년 5월 24일 -
                       선 시대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도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
                                                                            감옥 안이 청결하지 않아 죄수들이 질병에 걸려 죽는 일이 발생하니, 감옥의
                       항을 찾아볼 수 있다.                                      위생 관리에 더욱 신경 쓰도록 하였다.   - 세종 11년 2월 8일 -
                                                                            운명을 점치는 학문을 하는 시각 장애인 중에서 젊고 영리한 사람을 뽑아
                    『경국대전』 에서 인간 존중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세종 27년 3월 5일 -
                    사상이 반영된 조항
                                         노비  조선 시대의 가장 낮은 신분.          사례   대상          이들을 위해 나라가 한 일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
                           람에게는 관청에서 약을 준다.                                   집을 잃은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얻어        출산을  앞둔  노비에게는  출                              집을 잃은 어린아이에게 음식과 머물 곳을 제공하였다.
                                                                                    어린아이
              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봐 줄          산 전에 한 달, 출산 후에 50일
              사람이  없는  노인에게는  옷과        의 휴가를 준다. 그 남편에게는
              먹을 것을 내준다.                     출산 후에 15일의
                                             휴가를 준다.



                                                                                          세종실록  조선 세종 때의 역사를 기록한 책.
                                                                     조선 시대에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  ) 사상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90 90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1. 인권을 존중하는 삶 91 91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을 이해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수업의 흐름                                          • 조선 시대에 대해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을 말해 볼까요?

             도입    조선 시대에 대해 알고 있는 것 말해 보기                    – 세종 대왕과 같이 왕이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 양반이 있었습니다.
                   ➊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 알아보기

                   ➋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               – 남녀가 하는 일이 달랐습니다.
             전개      살펴보기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조선 시대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➌    탐구해요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자유롭게 이야기하되, 오늘날과 다른 사회 모습을 떠올릴 수 있
                     정책 살펴보기
                                                               게 한다.
             정리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 정리하기



                                                             전개

                                                             ➊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 알아보기
                                                             •  조선 시대는 어떤 사회였나요?

                                                              –  신분에 따라 사람들이 다른 대우를 받았습니다.


           210    각론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