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 ele_society_5-1_tutor
P. 215

전개                                                –  정초부를 노비 신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게 해
                                                                      주었습니다.
                 ➊ 신분에 따른 차별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 알아보기
                                                                  •  정초부는 어떤 삶을 살다가 죽었나요?
                 • 조선 시대에 가장 낮은 신분은 무엇이었나요?                                                                        2
                                                                    –  평생 나무꾼으로 힘들고 가난하게 살다가 생을 마쳤
                  – 노비입니다.
                                                                      습니다.                                         단원
                 • 노비는 어떤 대우를 받았나요?
                                                                  •  여춘영은 재능이 있는 정초부가 힘들고 가난하게 살다가
                  – 주인의 재산으로 여겨졌습니다.                                죽은 것을 어떻게 여겼나요?
                  –  동등한 인간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세상이 인재를 귀하게 여기지 않음을 안타까워하며
                 • 이러한 노비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은 누구인가요?                     크게 탄식했습니다.
                  – 이익이라는 사람입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이전 차시와 연결하여 신분 차별이 엄격했던

                 •  이익은 노비를 어떻게 생각하였나요?                             조선 시대에도 인간 존중 사상이 있었음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신분 차별이 존재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이익, 여춘영 등의
                  –  인간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노비의 처지를 가엾게 여
                                                                    인물이 인간 존중을 실천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겼습니다.
                  –  노비도 사람의 자식이므로 사람의 도리를 다하여 잘
                    대우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판서하기

                 •  이익은 노비를 위해 어떤 일을 하였나요?                          1. 신분에 따른 차별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
                  –  평생 자신을 섬기다가 생을 마감한 노비를 위해 제                                신분이 낮은 노비라도 사람의 도리로 대해야
                                                                         이익     한다고 생각하여, 죽은 자신의 노비를 위해
                    사상을 차리고 제문을 지어 주었습니다.
                                                                                제사상을 차리고 제문을 지어 줌.
                 •  조선 시대에 노비는 사회적으로 어떤 차별을 받았나요?
                                                                                자신의 노비 정초부가 사회에서 재능을 펼칠
                                                                        여춘영
                  – 교육을 받기 어려웠습니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줌.
                  –  사회에서 재능을 펼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  여춘영은 어떤 인물인가요?                                  교과서 자료
                  –  시를 짓는 능력이 뛰어난 노비 정초부의 주인이었습                      교과서 92쪽 용어 이익
                    니다.                                                성호 이익(1681~1763)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이자 실학자이다. 이익이 집필한  『성호사설』
                 •  여춘영은 정초부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
                                                                     에는 노비를 똑같은 사람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그의
                  –  정초부가 세상에서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었
                                                                     생각이 잘 드러나 있다.
                    습니다.
                                                                      교과서 93쪽 용어 정초부
                 •  여춘영과 노비 정초부의 이야기를 만화를 통해 살펴봅시

                                                                       정초부(1714~1789)는 조선 후기의 노비 출신 시
                   다. 정초부는 어떻게 공부할 수 있었나요?
                                                                     인이다. 정초부는 명문가 여씨 집안의 노비로, 주인
                  –  여춘영의 아버지는 정초부가 어깨너머로 들은 글을
                                                                     여춘영보다 나이가 한참 많았다. 정초부는 당대에 유
                    외우는 것을 보고, 그 재능을 기특히 여겨 여춘영과                     명한 시인이 되어 그의 시가 세간에 널리 알려졌다.
                    함께 공부하게 해 주었습니다.                                 그 증거로 김홍도가 그린 「도강도」라는 그림의 상단

                 •  여춘영은 정초부를 어떻게 대했나요?                              에는 김홍도가 영감을 받았다는 정초부의 시가 쓰여
                  –  여춘영이 어릴 때는 스승, 커서는 친구로 여기며 함                    있다.
                    께 시를 짓고 지냈습니다.                                     한편, 정초부가 죽은 뒤 여춘영은 그의 죽음을 안
                                                                     타까워하며  “저승에서도 나무하는가? / 낙엽은 빈

                 •  여춘영은 어떻게 정초부가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
                                                                     물가에 쏟아진다. / 삼한 땅에 명문가 많으니 / 내세
                   었나요?
                                                                     에는 그런 집에서 나시오.”라는 시를 남겼다.
                  –  정초부의 재능을 주변에 널리 알렸습니다.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13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