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 ele_society_5-1_tutor
P. 217
• 옛날에는 장유유서를 어떻게 적용하였나요?
• 옛사람들도 신분이나 성별에 따라 차별받는 사람을
– 장유유서라는 덕목을 잘못 적용하여 어린이의 의견
안타깝게 여기며 인간 존중 사상을 직접 실천하고
을 업신여기며 무시하는 어른들이 있었습니다. 자 하였다. ( ◯, × )
• 의무 교육이 없던 시절에 가정 형편이 어려운 어린이들은 이익, 여춘영은 ( 신분 )에 따른 차별을 개선하기 2
어떤 상황에 놓여 있었나요?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단원
– 교육을 받지 못하고 온종일 일을 해야 하는 경우도 허균은 ( 성별 )에 따른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
있었습니다. 한 인물이다.
• 이러한 현실을 안타깝게 여긴 사람은 누구인가요?
차시 예고하기
– 방정환입니다. 그는 어린이가 존중받지 못하는 현
• 다음 시간에는 인권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실을 안타깝게 여기고 어린이가 더욱 존중받으며 행
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힘썼습니다.
• 방정환은 어린이가 존중받으며 행복하게 자랄 수 있게 어
떤 활동을 하였나요? 판서하기
– 어린이를 위한 운동을 벌였습니다. 2. 성별에 따른 차별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
– 1923년에 어린이날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허균: 자신의 누이인 허난설헌의 시를 모아 시집을
• 방정환은 어린이날 행사에서 무엇을 주장하였나요? 만들어 그녀의 재능을 세상에 널리 알림.
– 어린이를 인격적으로 대우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3. 나이에 따른 차별을 안타깝게 여긴 인물
– 만 14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노동을 시키지 말 것을 방정환: 어린이날을 만들어 어린이와 어른 모두 존
중받아야 할 존재라는 것을 널리 알림.
주장하였습니다.
– 어린이가 배우고 놀 수 있는 시설을 만들 것을 주장
교과서 자료
하였습니다.
교과서 94쪽 용어 허난설헌
• 방정환을 비롯한 여러 사람의 노력은 사회에 어떤 영향을
허난설헌(1563~1589)은 조선 중기의 시인이다.
주었나요?
어린 시절 가족의 지원으로 남자와 똑같은 교육을 받
– 어린이와 어른 모두 존중받아야 할 존재라는 생각이
았고, 어릴 때부터 시에 대한 천재성을 발휘하였다.
널리 퍼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15세 때 김성립과 혼인했지만 원만하지 못했고, 딸과
– 어린이는 교육받고 즐겁게 놀면서 커야 한다는 인식 아들을 연이어 잃는 등 불행한 삶을 살다가 죽었다.
이 널리 퍼지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허난설헌은 죽으면서 자신의 시를 모두 태우라고 했
수업 제안 방정환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동학사상을 기 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허균은 누이의 작품이 사라지
반으로 어린이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어린이 운동을 펼친 인 는 것이 안타까워, 누이의 시를 모아 시집을 펴냈다.
물에는 방정환 외에도 김기전 등이 있었음을 추가로 안내하도록 허난설헌의 시는 중국과 일본에서 호평을 받았다.
한다.
교과서 95쪽 용어 어린이
어린이라는 용어는 원래 있었지만, 방정환이 어린
아이를 존중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정리
교과서 95쪽 용어 어린이날
학습 내용 정리하기 어린이의 인격을 소중히 여기고, 어린이가 행복하
• 인간 존중 사상을 실천한 옛사람들의 노력을 정리해 봅시 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
다. 이다. 처음에는 5월 1일이었으나, 1927년에 5월 첫
째 주 일요일로 날짜를 변경했다가 광복 이후에 5월
확인해요
5일로 정해져 지금까지 이어 오고 있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