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ele_society_5-1_tutor
P. 213
– 남녀의 역할이 다르다고 생각하여 여자에게는 공부 예시 답안
할 기회를 거의 주지 않고 집안일만 하게 하였습니다. 사례 대상 이들을 위해 나라가 한 일
• 신분과 성별에 따른 구분이 있던 조선 시대에도 사람에 대 집을 잃은 집을 잃은 어린아이에게 음식과 머물
사례 1
해 어떤 생각이 존재하였나요? 어린아이 곳을 제공하였다. 2
–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사람이라면 누구나 존중 굶주린 백성에게 나라의 곡식을 나눠 단원
사례 2 굶주린 백성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주었다.
죄수의 건강을 위해 감옥의 위생 관리
• 그 생각을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사례 3 죄수
에 신경을 쓰게 하였다.
– 인간 존중 사상이라고 부릅니다.
운명을 점치는 학문을 하는 시각 장애
사례 4 시각 장애인
•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은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나요? 인에게 직업 교육을 해 주었다.
– 조선 시대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
상이 반영된 조항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정리
수업 제안 지도서 231쪽의 ‘옛날의 사례를 통한 인권 교육의
방법’을 참고해 수업을 진행하면서, 옛날의 인간 존중 사상과 오
학습 내용 정리하기
늘날의 인권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을 정리해 봅시다.
➋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 살펴보기 확인해요
• 『경국대전』에서 인간을 존중하는 마음이 반영된 조항에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어떤 것이 있나요?
조선 시대에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
–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얻어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
는 ( 인간 존중 ) 사상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봐 줄 사람이 없는 노인에게는 옷과 먹을 것을 내준
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람에게는 관청에서 약
• 다음 시간에는 인간 존중 사상을 실천한 옛사람들에 대해
을 준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 출산을 앞둔 노비에게는 출산 전에 한 달, 출산 후에
판서하기
50일의 휴가를 주고, 그 남편에게는 출산 후에 15일
의 휴가를 준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1.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
조선 시대에도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인간이
• 각 조항에서 인간다운 삶을 위해 보장하고 있는 것은 무엇
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간 존중 사상을
일까요?
실천하려는 노력이 있었음.
– 얻어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봐 줄 사람이 없는 노
경국대전』에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이 있음.
『
인에게 옷과 음식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람들에게 질병 치료를 교과서 자료
보장하고 있습니다.
교과서 90쪽 용어 신분
– 출산을 앞둔 노비와 남편에게 휴식을 보장하고 있습 조선 시대에는 사람의 신분을 양인과 천민으로 나
니다. 누는 양천제가 법제화되어 있었다.
교과서 91쪽 용어 『세종실록』
➌ 탐구해요 _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정책 살
세종의 재위 기간인 1418년 8월부터 1450년 2월
펴보기 까지 31년 7개월 동안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
루고 있다. 『세종실록』에는 『오례의』, 악보, 지리지,
『세종실록』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정책을
『칠정산』 등도 함께 수록하였다.
살펴보고, 나라가 어떤 일을 했는지 써 보자.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