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ele_society_5-1_tutor
P. 213

–  남녀의 역할이 다르다고 생각하여 여자에게는 공부                     예시 답안
                    할 기회를 거의 주지 않고 집안일만 하게 하였습니다.                     사례      대상        이들을 위해 나라가 한 일
                 •  신분과 성별에 따른 구분이 있던 조선 시대에도 사람에 대                         집을 잃은  집을 잃은 어린아이에게 음식과 머물
                                                                     사례 1
                   해 어떤 생각이 존재하였나요?                                         어린아이    곳을 제공하였다.                      2
                  –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사람이라면 누구나 존중                                     굶주린 백성에게 나라의 곡식을 나눠            단원
                                                                     사례 2  굶주린 백성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주었다.
                                                                                    죄수의 건강을 위해 감옥의 위생 관리
                 •  그 생각을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사례 3     죄수
                                                                                    에 신경을 쓰게 하였다.
                  – 인간 존중 사상이라고 부릅니다.
                                                                                    운명을 점치는 학문을 하는 시각 장애
                                                                     사례 4  시각 장애인
                 •  조선 시대의 인간 존중 사상은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나요?                                인에게 직업 교육을 해 주었다.
                  –  조선 시대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

                    상이 반영된 조항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정리
                     수업 제안  지도서 231쪽의 ‘옛날의 사례를 통한 인권 교육의
                   방법’을 참고해 수업을 진행하면서, 옛날의 인간 존중 사상과 오
                                                                     학습 내용 정리하기
                   늘날의 인권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을 정리해 봅시다.

                 ➋  『경국대전』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 살펴보기                   확인해요
                 •  『경국대전』에서 인간을 존중하는 마음이 반영된 조항에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어떤 것이 있나요?
                                                                      조선 시대에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
                  –  굶주림과 추위 속에서 얻어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
                                                                    는 ( 인간 존중 ) 사상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봐 줄 사람이 없는 노인에게는 옷과 먹을 것을 내준
                    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람에게는 관청에서 약
                                                                  •  다음 시간에는 인간 존중 사상을 실천한 옛사람들에 대해
                    을 준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  출산을 앞둔 노비에게는 출산 전에 한 달, 출산 후에
                                                                    판서하기
                    50일의 휴가를 주고, 그 남편에게는 출산 후에 15일
                    의 휴가를 준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1. 옛사람들의 인간 존중 사상

                                                                        조선 시대에도 신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인간이
                 •  각 조항에서 인간다운 삶을 위해 보장하고 있는 것은 무엇
                                                                       라면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간 존중 사상을
                   일까요?
                                                                       실천하려는 노력이 있었음.
                  –  얻어먹으며 다니는 사람과 돌봐 줄 사람이 없는 노
                                                                        경국대전』에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조항이 있음.
                                                                       『

                    인에게 옷과 음식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  가난하여 약을 살 수 없는 사람들에게 질병 치료를                    교과서 자료
                    보장하고 있습니다.
                                                                     교과서 90쪽 용어 신분
                  –  출산을 앞둔 노비와 남편에게 휴식을 보장하고 있습                       조선 시대에는 사람의 신분을 양인과 천민으로 나
                    니다.                                              누는 양천제가 법제화되어 있었다.

                                                                     교과서 91쪽 용어 『세종실록』
                 ➌  탐구해요 _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세종 대의 정책 살
                                                                       세종의 재위 기간인 1418년 8월부터 1450년 2월
                   펴보기                                               까지 31년 7개월 동안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

                                                                     루고 있다. 『세종실록』에는 『오례의』, 악보, 지리지,
                       『세종실록』에서 인간 존중 사상이 반영된 정책을
                                                                     『칠정산』 등도 함께 수록하였다.
                   살펴보고, 나라가 어떤 일을 했는지 써 보자.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211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