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1 - ele_society_5-2_tutor
P. 241
자료는 동학 농민 운동을 이끌었던 전봉준의 재판 기
6 차시
록이다. 이를 통해 동학이 어떤 종교이며 동학 농민 운
갑신정변을 통해 지향한 사회
동이 어떤 성격의 운동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2
김옥균, 박영효, 서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www.e-donghak.or.kr) -
광범, 서재필 등 급진 단원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
7 8
정변은 근대 국가 건 ~ 차시
설을 지향한 정치 개
독립문의 ‘독립’ 의미
혁 운동이었다. 갑신정변의 주역(왼쪽부터 박영효, 서광
범, 서재필, 김옥균) 독립문의 건립 당시 ‘독립’이라는 말의 의미는 일제로
이들이 정치 개혁을
부터의 독립이 아니라 청으로부터의 독립이었다. 공교롭
위해 발표한 개혁안에는 청과 종속 관계를 청산한 조선
게도 독립이라는 말을 처음 쓴 것은 일본이었다. 강화도
의 자주독립,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보장, 재정의 일원
조약 당시 일본은 조선이 독립국이라는 구절을 강요하였
화, 경제 개혁과 군제 개혁, 내각 제도 수립 등의 내용이
고, 갑오개혁의 「홍범 14조」에도 독립이라는 말이 포함되
포함되었다. 개혁안은 정치 체제와 국가 권력의 운영 방
었다. 일본이 조선의 독립을 이야기한 것은 중국 중심의
안에 대한 비중이 높았고, 갑신정변을 주도한 이들의 구
질서를 해체하기 위해서였다. 조선인 가운데 이러한 주
상뿐만 아니라 19세기 이후 여러 개혁론이 응축된 것으
장에 동조한 사람들이 독립 협회를 결성한 것이다. 이후
로 볼 수 있다.
일제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는 운동을 벌이게 되었는데
이들이 추구한 개혁은 이후 갑오개혁과 독립 협회의
이때 과거에 사용한 ‘독립’이라는 말을 그대로 채용하였
활동 등에 영향을 주었다.
다. 말은 그대로였지만 그 대상은 전혀 달라진 것이다.
- 정숭교,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동학과 동학 농민 운동 웅진지식하우스, 2011, 146~147쪽 -
문: 동학이라는 것은 무슨 주의, 무슨 도학(道學)인고?
‘대한 제국’ 이름에 담긴 의미
답: 마음속 깊이 충효로 근본을 삼아 나라를 돕고 백성
고종 황제는 국호를 ‘대한’으로 변경하여 대한 제국을
을 편안하게 하자는 것입니다.
선포하였다. 국호 변경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문: 너도 동학을 몹시 좋아하는 자이냐?
답: 동학은 마음을 지키고 하늘을 공경하는 도(道)이기
황제의 나라에서 이전의 나라 이름을 그대로 쓴 적
때문에 몹시 좋아합니다.
이 없다. ‘조선’은 기자가 봉해졌을 때의 이름이니 당당
문: 동학은 어느 때에 시작하였느냐?
한 제국의 이름으로는 합당하지 않다. …… 한(韓)이란
답: 동학의 시작은 30년 전에 비롯되었습니다.
이름은 우리의 고유한 나라 이름이며, 우리나라는 마
문: 어느 사람이 시작하였는가?
한·진한·변한 등 원래의 삼한을 아우른 것이니 큰 한
답: 경주에 살던 최제우가 시작하였나이다.
(韓)이라는 이름이 적합하다. - 『고종실록』 -
문: 지금도 전라도 안에 동학을 믿는 자가 많으냐?
답: 봉기한 뒤에 죽은 자들이 많아 지금은 크게 줄어들 대한 제국이 선포되면서 환구단 등 각종 의례는 천자
었습니다.
국의 그것에 준하여 변경되었다. 황제로 즉위할 때 행차
문: 네가 봉기를 일으켰을 때 너를 따른 자들이 모두 동
한 경운궁 즉조당의 편액은 태극전으로 이름이 바뀌기
학교도들이냐?
도 하였다. 국왕의 자주색 곤룡포도 황색으로 바뀌었고,
답: 접주는 모두 동학교도이고 그 나머지는 나라를 걱
왕세자를 황태자로 책봉하였으며, 시해된 왕비도 명성
정하여 일어난 자가 많습니다.
황후로 추존되어 다음 달 황후의 예로 장례를 치렀다.
- 1895년 2월 전봉준 재초 문목 -
- 우리역사넷(contents.history.go.kr) -
239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