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3 - ele_society_5-2_tutor
P. 243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이 단원에서는 1905년 을사늑약에서 1945년 광복 이                일제(日帝)
                 전까지 일제의 침략을 극복하고 광복을 위해 노력한 우리                     일제는 일본 제국, 일본 제국주의를 칭하는 용어이다.                  2
                 민족의 노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이 일제와                   제국주의는 일반적으로 국가의 팽창주의를 의미한다.
                                                                                                                   단원
                 맞서 싸워 지키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오늘날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를 이룬 후 팽창 정책을
                 대한민국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펼쳐 청일 전쟁, 러일 전쟁의 승리를 기반으로 한국을 식

                   이를 위해 10~11차시에서는 일제의 침략 과정을 알                  민지로 삼았다. 일본은 한국의 민족 운동을 억압하고 경제
                 아보고, 이에 맞선 우리 민족의 노력을 살펴보도록 한다.                  적 수탈을 이어 갔다. 이후 일제는 침략 전쟁을 확대하여
                 12~13차시에서는 일제의 식민 통치와 이에 대항한 3·1                 더 많은 식민지 지배의 확대를 꾀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운동의 특징과 영향을 이해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의 패망으로 해체되었다.
                 활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14차시에서는 3·1 운동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변화된 일제의 식민 통치와 1920년대 독립운동을 알아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3·1 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의
                 보도록 한다. 15~16차시에서는 1930년대 이후 일제의                 결집을 위해 수립되었다.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결성
                 민족 말살 정책과 강제 징용, 전쟁 범죄 등의 문제점을                   된 임시 정부는 1919년 9월에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파악하도록 한다. 이에 맞서 민족정신을 지키려고 한 인                   임시 정부로 통합되었다. 이후 1945년 광복까지 27년 동
                 물들의 노력을 살펴보고 나라를 지키기 위한 마음과 태                    안 중국 각처를 돌아다니며 독립과 자유를 위해 투쟁하
                 도를 기르도록 한다.                                      였다.


                  2  중단원 목표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 광복을 위해
                    지식
                            힘쓴 인물들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다.
                            일제의 침략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이를 극복
                    기능      하려는 우리 민족의 다양한 노력을 조사·발표할              5
                            수 있다.                                     참고 자료 및 누리집

                            일제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고, 우리나라를 되찾                류승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7–현
                  가치·태도     으려는 우리 민족의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대』, 가람기획, 2016.
                            기른다.
                                                                   -  사료를 바탕으로 3·1 운동과 이후 독립운동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대한 풍부한 사료를 찾아볼 수 있다.
                                                                     김정인 외, 『한국 근대사 2, 식민지 근대와 민족 해방
                                나라를 지키고자 한
                                                                   운동』, 푸른역사, 2016.
                               인물들의 활동 파악하기
                                                                   -  일제의 식민 통치에 관련된 전반적인 흐름과 독립운
                                                     나라를
                    일제의                             지키고 되찾           동 내용을 알 수 있다.
                                광복을 위해 힘쓴 인물
                  침략과 광복을                          고자 한 노력에
                               들의 활동 조사·발표하기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db.history.
                   위한 노력                            대한 생각
                                                                   go.kr/samil/)
                                                     나누기
                              나라를 지키고 되찾으려는                        -  3·1 운동과 관련된 사료 및 데이터를 제공하며, 지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리 정보 시스템 등으로 우리 지역의 3·1 운동 정보
                                   태도 기르기
                                                                     를 확인할 수 있다.


                                                                                                         241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