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9 - ele_society_5-2_tutor
P. 249

•  국권 피탈 후 일제는 어떤 정책을 펼쳤나요?                       정리
                  –  식민지 통치를 위한 기관인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였
                                                                     학습 내용 정리하기
                    습니다.
                                                                  • 일제의 강압적인 식민 통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2
                  –  군인 출신의 총독을 임명하였습니다.
                                                                  •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선 국내외 민족 운동을 정리해 봅시다.
                  –  신문 발행과 집회를 금지해 언론을 통제하였습니다.                                                                   단원
                  –  헌병 경찰제를 실시해 한국인을 감시하고 독립운동                      확인해요
                    을 탄압하였습니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일제가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①  일제는 대한 제국을 강제로 빼앗은 뒤에 식민지 통
                  –  토지 주인들이 자신의 소유지를 신고하게 하였습
                                                                      치 기구인 ( 조선 총독부 )을/를 설치하였다.
                    니다.                                             ②  이회영은 만주 지역에 독립군 지도자를 길러 내기
                 • 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는 무엇인가요?                               위해 ( 신흥 강습소 )을/를 세웠다.
                  –  많은 농민이 땅을 잃게 되었습니다.
                  –  소유자가 확실하지 않은 땅은 총독부에 넘어가게 되                     차시 예고하기
                    었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노력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➋ 국내외의 민족 운동 알아보기
                 •  일본의 강압적인 통치로 독립운동이 어려워지자, 국내에
                   서는 어떤 방식으로 민족 운동이 전개되었나요?                        판서하기
                  – 여러 비밀 조직이 만들어졌습니다.                              1. 191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
                                                                        배경: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
                 • 국외에서는 어떤 민족 운동이 전개되었나요?
                                                                        식민지 통치 기관인 조선 총독부를 설치함.
                  –  일부 민족 지도자들은 탄압을 피해 국외로 이주하여
                                                                        군인 출신의 총독을 임명함.
                    독립운동을 이어 갔습니다.
                                                                        신문 발행과 집회를 금지하여 언론을 통제함.
                  –  만주와 연해주에 독립운동 단체를 세우고, 민족 교
                                                                        헌병 경찰제를 실시함.
                    육을 위한 학교를 세웠습니다.                                    전국적으로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함.
                 •  국외에서 활동한 대표적 민족 운동가에는 누가 있으며 어
                                                                    2. 국내외의 민족 운동
                   떤 활동을 하였나요?
                                                                        국내에서 여러 비밀 조직이 만들어짐.
                  –  안창호는 미국으로 건너가 흥사단을 세워 미국 지역                        일부 민족 지도자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국외로
                    의 독립운동을 지휘하였습니다.                                   이주함.

                  –  이회영은 만주에서 한인들의 거주지를 만들어 독립                         만주에 독립운동 단체와 학교를 세움.
                    운동 기지를 마련하였습니다.                                     미국의 안창호, 만주의 이회영 등이 활약함.
                 ➌  아! 그렇구나 _ 전 재산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바친 이회영               교과서 자료
                 •  국권 피탈 후 이회영은 어떤 활동을 했나요?
                                                                     교과서 119쪽 용어 이회영
                  –  자신의 전 재산을 정리하여 형제, 가족과 함께 만주                      이회영은 서간도의 삼원보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
                    로 건너가 황무지를 일구어 독립운동 기지를 마련하                      설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이회영은 형제들을 설득
                    였습니다.                                            하여 온 가족이 함께 만주로 망명할 것을 결정하고 막
                  –  독립군 지도자를 길러 내기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세                     대한 가산과 전답을 모두 처분하였다.
                    웠습니다.                                              척박한 만주 지역에서 한인들의 생계 방도를 마련
                                                                     하는 한편, 신흥 무관 학교의 전신인 신흥 강습소를
                 •  이러한 활동은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설립하여 무장 항일 투쟁을 준비하고자 하였다.
                  – 훗날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247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