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1 - ele_society_5-2_tutor
P. 251
• 민족 자결주의는 우리 민족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 대대적인 만세 운동을 벌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 내가 만들어 보는 3·1 운동
계에 알리고자 하였습니다. – 3·1 운동 당시의 학생이었다면, 어떤 방법으로 만
세 운동을 전개하였을지 상상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2
➋ 3·1 운동의 전개 과정 살펴보기
재현해 보게 한다. 단원
• 3·1 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우리의 목소리를 담은 태극기 걸기: 태극기를
–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이 서울에서 독립
그리고 태극기에 ‘대한 독립 만세’, ‘대한민국은
선언서를 낭독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의 손으로’ 등 글을 쓰고 게시하기
– 같은 시각 수천 명의 학생과 시민은 탑골 공원에서 만세 운동 재현하기: 태극기를 들고 3·1 운동처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를 불렀습니다. 럼 만세 운동 해 보기
• 이후 3·1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우리가 써 보는 독립 선언서: 독립 선언서를 오늘
– 3월 1일 이후 석 달 동안 전국에서 만세 시위가 끊 날의 언어로 바꾸어 써 보며 그 의미를 찾아보기
이지 않고 일어났습니다.
판서하기
– 처음에는 서울의 학생과 지식인들이 중심이었지만,
1. 3·1 운동의 배경
이후 농민과 노동자 등이 참여하는 전 민족적인 운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민족
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자결주의를 주장함.
• 3·1 운동에 대해 일제는 어떻게 대응했나요?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은 우리 민족은 대대적
– 평화적인 만세 운동을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총칼로 인 만세 운동을 벌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진압하였습니다. 알리고자 함.
– 일제의 탄압 때문에 많은 부상자와 사망자가 발생하 2. 3·1 운동의 과정
였습니다.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함.
수업 제안 일부 지역에서는 3·1 운동과 관련된 행사를 정기
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화성(제암리), 경기도 안성, 충남 탑골 공원(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 학생과 시민이
논산 등의 행사에 참여해 본 경험을 연결하여 지도할 수 있다. 만세 시위를 벌임. → 전 민족적 운동으로 발전함.
일제가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진압함.
➌ 아! 그렇구나 _ 감옥에서도 멈추지 않았던 만세 소리, 유
관순 교과서 자료
• 3·1 운동이 일어나자 유관순은 어떤 행동을 했나요? 교과서 121쪽 용어 유관순
– 3·1 운동 당시 서울에서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습 유관순은 1915년 이화 학당으로 편입하여 근대 선
진 학문을 공부하였다. 이화 학당에 재학 중에 만세
니다.
운동에 참가한 유관순은 이후 고향으로 내려와 4월 1
– 학교가 문을 닫자 천안의 고향으로 내려와 4월 1일
일 천안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습니다.
만세 운동의 결과 구속된 유관순은 공주 지방 법원
– 일제에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습니다.
법정에서 “나는 한국 사람이다. 너희들은 우리 땅에
• 감옥에서 유관순은 어떤 생활을 했나요? 와서 우리 동포들을 수없이 죽이고 나의 아버지와 어
– 1920년 3·1 운동 1주년이 되자 감옥 안에서도 만세 머니를 죽였으니 죄를 지은 자는 너희들이다. 우리가
시위를 벌였습니다. 너희에게 형벌을 줄 권리는 있어도 너희들은 우리를
– 만세 소리가 퍼져 형무소 주위에 사람들이 몰려들 재판할 그 어떤 권리도 명분도 없다.”라고 하면서 일
제의 재판을 거부하는 당당함을 보였다. 이후 서대문
자, 일제는 유관순에게 심한 고문을 하였습니다.
형무소로 옮겨져 온갖 탄압에도 지속적으로 옥중 만
– 일제의 심한 고문으로 18세의 나이로 순국하였습
세 운동을 이어 가다가 1920년 9월 순국하였다.
니다.
249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