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0 - ele_society_5-2_tutor
P. 250
13 차시
교과서 120~121 쪽
3 3•1 운동과 대한민국 3·1 운동의 전개 과정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은 서울에서 독립 선
임시 정부의 노력을 알아볼까요 언서를 낭독하였다. 같은 시각 수천 명의 학생과 시민은 총 1,798건 총 1,067,886명
시위 참가자
시위 건수
시위 발생 지역
100 이하
100~200
200~300 백두산
탑골 공원(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 300~400
400 이상
하고 만세를 불렀다. 수많은 시민이 참여하면서 서울 함경도
144
평안도
3·1 운동의 배경 거리는 만세 소리로 뒤덮였다. 276
강원도
황해도 81
일제의 강압적인 통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해외에서는 서양 여러 나 이로부터 석 달 동안 전국에서 만세 시위가 끊이지 않 180
황 해 동 해
라가 편을 나누어 전쟁을 벌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다. 고 일어났다. 처음에는 서울의 학생과 지식인들이 중심 경기도
415
전쟁이 끝난 직후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이었으나, 이후 농민과 노동자 등이 참여하는 전 민족적 경상도
충청도 273
225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라는 민족 자결주의를 주장하였다. 이에 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전라도 89 국외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던 민족들이 독립을 이루거나 독립에 대한 희 일제는 평화적인 만세 운동을 경찰과 군대를 동원하 남 해 115
망을 갖게 되었다. 여 총칼로 진압하였다. 이 때문에 많은 부상자와 사망자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2016]
전국 만세 시위 건수
민족 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은 우리 민족은 대대적인 만세 운동을 가 발생하였다.
벌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고자 하였다. 휙
탕 탕 휙
대한 독립
만세 대한 독립
만세
감옥에서도 멈추지 않았던 만세 소리, 유관순
1919년 3·1 운동 당시, 만세 시위에 참가한 유관순은 이화 학당이 문을
닫자 천안의 고향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4월 1일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만
세 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다.
유관순은 1920년 3·1 운동 1주년이 되자 감옥 안에서도 만세 시위를 벌
였다. 수감자들이 호응하여 만세 소리가 밖으로 퍼지자 형무소 주위에
사람들이 몰려들기도 하였다. 일제는 유관순을 심하게 고문하였고,
결국 그녀는 18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순국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침.
121
120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1
120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3·1 운동의 배경과 과정,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과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서 독립을 위해 노력한 인물들에는
수업의 흐름 누가 있나요?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서 민족 운동을 주도한 인 – 안창호는 미국에서 흥사단을 세워 독립운동을 지휘
도입
물 떠올리기 하였습니다.
➊ 3 · 1 운동의 배경 알아보기 – 이회영은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를 마련하였습니다.
➋ 3 · 1 운동의 전개 과정 살펴보기
전개
➌ 아! 그렇구나 감옥에서도 멈추지 않았던 만세
소리, 유관순
전개 ➊ 3·1 운동의 배경 알아보기
➍ 별별이야기 3 · 1 운동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
• 3·1 운동이 일어나기 전 해외의 정세는 어떠했나요?
➎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알아보기
➏ 탐구해요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 –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민족 자결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 3 · 1 운동의 배경과 전개 과정 정리하기
정리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과 활동 정리하기 – 민족 자결주의에 따라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던 민
족들이 독립을 이루거나 독립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248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