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2 - ele_society_5-2_tutor
P. 252
13 차시
교과서 122~123 쪽
3·1 운동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3·1 운동 이후 민족의 독립 열망을 담아 국내외 여러 지역에서 임
시 정부가 만들어졌다. 힘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임시 정부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되자, 상하이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1919년 3·1 운동에는 학생, 노동자, 농민 등 여러 계층이 참여하였다. 만세 시위는 1919년 3월부
이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가 들어섰다. 민주 공화제 주권이 국민에게
터 5월 말까지 전국 곳곳에서 이어졌다. 또한 미국과 만주 등 해외에서도 시위가 벌어졌다.
있고 국민의 의사에 따라 정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독립운동을 하나로 묶어 가 이루어지는 제도.
체계적으로 지휘하고자 하였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고, 국내외를 잇
교장 선생님이 우리들을 3월 3일, 개성(당시 경기 3월 8일, 서울(당시 경성) 는 연락망을 조직하였다. 또한 『독립신문』을 펴내 국내외 동포에게 독
만세 운동에 참여하지 말라고 도)에서 시위에 참여한 호수 의 인쇄소 앞에서 시위에 립운동 소식을 알렸다.
설득했지만 오늘 일을 각오하여
돈 여자 고등 보통학교 여학 참여한 노동자 200여 명
퇴학 신청서를 냈으니 운동에 생들
참여하겠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
인쇄소 야간 근무를 위해
남은 척했지만 시위에 안창호의 글을 보고 대한 제국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대한 독립 만세!
오늘날 우리나라에는 황제가 없나요? 있소. 대한 제국에는 황제
가 1인밖에 없었지만 오늘은 2천만 국민이 모두 황제요. 여러분도
다 황제요. 황제란 무엇이오? 주권자를 뜻하는 이름이니, 과거의
주권자는 오직 한 사람이었으나, 지금은 여러분이 다 주권자외다.
주권자 국가의 권력을 가진 사람. - 『독립신문』, 1920. 1. 8. -
학생, 지식인
20.8
1,776 1 윗글을 읽고 다음 빈칸을 채워 보자.
8,511명
상공업자 (3월 1일 ~ 농민
13.8 5월 31일) 58.4(%)
1,174 4,969(명) 대한 제국의 주권자는 (이)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주권자는 (이)다.
노동자 3.9
장날에 맞춰 독립 3월 29일, 부산(당시 경남 328 2 윗글을 읽고 대한 제국과 비교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성격을 정리해 보자.
무직자 3.1
선언서와 태극기를 동래군) 구포 시장에서 시위 264 (『독립운동사 연구』, 1980)
나눠 주는 등 만세 에 참여한 상인들 1,000여 명
운동을 준비하였다. 3·1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계층별 비율
3·1 운동의 결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 ◯, × )
위의 자료를 보고 어떤 사람들이 3・1 운동에 참여했는지 써 보자.
123
12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3
122
➍ 별별이야기 _ 3·1 운동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
위의 자료를 보고 어떤 사람들이 3·1 운동에 참여
• 3·1 운동은 얼마나 오래 진행되었나요?
했는지 써 보자.
– 1919년 3월부터 5월 말까지 전국 곳곳에서 이어졌
예시 답안
습니다.
학생, 지식인, 농민, 노동자, 상공업자 등 다양한 계
• 교과서 122쪽에 제시된 <자료 1>~ <자료 3>을 살펴보며 질
층이 3·1 운동에 참여하였습니다.
문에 답해 봅시다.
수업 제안 3·1 운동이 서울에서 일회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
• <자료 1>에서는 언제 어디에서 어떤 사람들이 만세 시위에
니라, 5월 말까지 전국으로 확대되어 전개되었음을 인지하게 한
참여했나요?
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일어난 운동이므로 각 지역의 3·1 운동
– 3월 3일, 개성(당시 경기도)에서 호수돈 여자 고등
관련 자료를 직접 조사하게 지도할 수 있다.
보통학교 여학생들이 운동에 참여하였습니다. ➎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알아보기
• <자료 2>에서는 언제 어디에서 어떤 사람들이 만세 운동에 • 3·1 운동 이후 민족 지도자들은 독립을 위해 어떤 활동을
참여했나요? 했나요?
– 3월 8일, 서울(당시 경성)의 인쇄소 앞에서 노동자 – 민족의 독립 열망을 담아 국내외 여러 지역에서 임
200여 명이 운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시 정부를 만들었습니다.
• <자료 3>에서는 언제 어디에서 어떤 사람들이 만세 운동에 • 독립운동가들이 상하이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참여했나요? 수립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 3월 29일, 부산(당시 경남 동래군) 구포 시장 시위 – 힘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임시 정부를 통합할 필요
에 상인들 1,000여 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250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