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7 - ele_society_5-2_tutor
P. 257
교과서 128~129 쪽
➌ 별별이야기 _ 일제의 강제 동원
• 1930년대 후반 침략 전쟁을 벌인 일제는 어떻게 우리 민족
일제의 강제 동원 의거 활동 을 혹사했나요?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일제의 감시와 탄압, 내부 갈
강제 징용 등으로 어려움에 빠지자 김구는 한인 애국단을 만들어 – 1938년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해 본격적으로 한국 2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려 하였다.
일제는 1938년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인과 각종 물자를
한인 애국단의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본 왕의 마차에 인과 각종 물자를 수탈하였습니다. 단원
수탈하였다.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고, 일본, 중국, 사할린 등으로 끌고 가 무기
공장이나 탄광에서 일을 시켰다. 이들 중에서 많은 사람이 다치고 목숨을 잃었으며, 폭탄을 던져 일제에 충격을 주었다. 윤봉길은 일본 왕의
광복 후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생일을 기념하는 상하이의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 –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고, 일본·중국·사할린 등
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봉창 김구와 윤봉길
1944년, 내 나이 열일곱 살 …… 부산에서 배 으로 끌고 가 무기 공장이나 탄광에서 일을 시켰습
를 타고 도착한 곳이 일본 규슈 탄광이었다.
전등 달린 모자에 수건 같은 속옷만 걸치고, 하 한국 광복군의 활동
루 3교대로 쉴 사이도 없이 일을 하였다. …… 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여러 지역의 독립군을 모아 정식 군대인 한국 선전 포고 한 나라가 다른 나 니다.
치는 사람도 많고, 죽는 사람도 많았다. …… 도 라에 전쟁을 시작한다는 것을
망가 봐야 금방 끌려와서 삽이나 몽둥이로 두들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여 연합국 자격으 공식적으로 알리는 일. – 수많은 여성을 강제로 잡아가 성 노예로 삼았습니다.
겨 맞으니 도망가지 못하였다. 군함도 이 섬의 강제 노동에 동원 로 전쟁에 참전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미군과 연합하여 국내에 진입할 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 때에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구술자료』 - 된 한국인 100명 이상이 목숨을 작전을 세웠으나 일본이 항복하여 실현되지 못하였다. 독일, 일본 등에 맞서 싸운 여러
잃었다. 나라로, 미국, 영국, 중국, 소련 ➍ 의거 활동과 한국 광복군의 활동 알아보기
등이 해당됨.
강제 징용 노동자상 한국 광복군 결성식 기념 촬영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서울특별시 용산구) 일본군 ‘위안부’ • 김구가 한인 애국단을 만든 목적은 무엇인가요?
일제는 침략 전쟁을 벌이면서 수많은 여성을 강제로 잡아가 성 노
예로 삼았다. 일본군 ‘위안부’ 여성들은 전쟁 중에 많은 고통과 피해를 –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어려움에 빠지자 한인 애국단
입었으며, 광복 이후에도 제대로 사과조차 받지 못하였다. 1992년 이
후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시민 단체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 을 만들어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려 하였습니다.
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매주 수요일에 열고 있다.
• 한인 애국단원들은 어떤 활동을 했나요?
–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본 왕의 마차에 폭탄을 던졌습
니다.
1 1930년대 후반 일제는 한국인을 식민 지배에 협조하도록 만들기 위해 ( ) 통치를
실시하였다. – 윤봉길은 일본 왕의 생일을 기념하는 상하이의 행사
수요 집회에 참여한 학생들 평화의 소녀상 2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 )을/를 만들어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였다.
129
12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129 장에 폭탄을 던졌습니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여러 지역의 독립군을 모아 조직한
정식 군대는 무엇인가요?
– 한국 광복군입니다.
– 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역사만 가르치고, 한국어
• 한국 광복군은 어떤 활동을 했나요?
와 한국의 역사 교육을 금지하였습니다.
– 전국의 신사에 강제로 참배하게 하였습니다. –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여 연합국의 자격으로 전쟁에
–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였습니다. 참전하였습니다.
– 우리 민족을 전쟁에 강제로 동원하였습니다. – 국내에 진입할 작전을 세웠지만 일본의 항복으로 실
• 일제는 침략 전쟁에 우리 민족을 어떻게 동원하였나요? 현하지 못하였습니다.
– 전쟁에 필요한 사람을 강제로 끌고 갔습니다. 판서하기
– 전쟁에 필요한 쇠붙이·쌀 등 각종 물자를 빼앗아 갔
1.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습니다.
학교에서 일본어와 일본 역사만 가르침.
➋ 아! 그렇구나 _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지 않으면 받는 불 전국의 신사에 강제로 참배하게 함.
이익과 저항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게 함.
•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지 않을 경우 일제는 어떤 불이익을 전쟁에 필요한 사람을 강제로 끌고 감.
주었나요? 전쟁에 필요한 쇠붙이와 쌀 등 각종 물자를 빼앗음.
– 쌀 배급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의거 활동과 한국 광복군의 활동
– 학교에서 수업을 듣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김구가 한인 애국단을 조직함. 예 이봉창, 윤봉길
• 일본식 이름 강요에 우리 민족은 어떻게 저항했나요? 의 의거 활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식 군대인 한국 광복군이
– 자결하거나 일본식 이름을 비꼬는 형태로 저항하였
연합국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전함.
습니다.
255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