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9 - ele_society_5-2_tutor
P. 259
서 민족의 애국심과 자부심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① 1930년대 후반 일제는 한국인을 식민 지배에 협조하
– 고조선과 고구려가 동아시아의 강국이었음을 강조
도록 만들기 위해 ( 민족 말살 ) 통치를 실시하였다.
하였습니다.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 한국 광복군 )을/를 만들어
– 우리 역사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으로 발전해 왔음을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였다. 2
주장하였습니다. 일제는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없애기 위해 일본식 단원
• 문학을 통해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에는 무엇이 있 이름을 쓰도록 강요하였다. ( ◯, × )
나요? ( 전형필 / 신채호 )은/는 전 재산을 쏟아부어 우리
– 심훈, 한용운, 이육사, 윤동주 등의 문학가들이 시 문화재를 구입하였다.
를 통해 식민지 현실을 고발하고 민족의식을 일깨우
고자 하였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심훈이 쓴 「그날이 오면」 은 어떤 내용인가요? • 다음 시간에는 ‘뚝딱뚝딱 정리하기’로 중단원을 마무리하
겠습니다.
– 광복이 올 그날을 기다리는 간절한 소망을 표현하였
습니다.
판서하기
밑줄 친 시인들의 항일 저항시를 찾아 읽어 보고 3. 민족 문화 수호 운동
감상을 말해 보자. 조선어 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고 우
리말 『큰사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함.
예시 답안
전형필이 우리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전 재산을
윤동주의 「서시」 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자아 성찰
쏟아부어 문화재를 구입함.
과 참회의 감정을 표현하였습니다.
신채호는 우리 역사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으로 발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시를 읽고 감상을 이야기할 때 정 전해 왔음을 주장함.
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 어려워할 수 있다. 이때 시가 쓰인 당 심훈, 한용운, 이육사, 윤동주 등이 시를 통해 식
시의 상황을 설명하며 자신이 시인이라면 어떤 마음으로 시를 민지 현실을 고발하고 민족의식을 일깨움.
썼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교과서 자료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교과서 130쪽 용어 조선어 학회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한 저항시 써 보기
조선어 연구회를 계승하여 1931년에 이윤재, 최현
– 일제 식민 통치 현실을 고발하거나 독립을 향한 마
배 등이 조직한 조선어 학회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음을 담은 저항시를 써 보게 한다.
제정, 표준어와 외래어 표기법 제정, 우리말 『큰사전』
우리 문화재를 지키기 위한 홍보 포스터 만들기 편찬 시도 등의 활동을 하였다.
–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문화재를 골라 세계 사 그러나 일제는 조선어 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규
람들에게 알리는 홍보 포스터를 만들어 보게 한다. 정하여 1942년에 조선어 학회 회원을 대거 검거하고
조선어 학회를 강제로 해산하는 조선어 학회 사건을
일으켰다.
정리
교과서 131쪽 용어 윤동주의 「서시」
학습 내용 정리하기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 나는 괴로워했다. / 별을 노래하
•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에 맞서 우리 민족을 지키기 위해
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 그리고
전개한 노력을 정리해 봅시다.
나한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 / 오늘 밤에도 별이
확인해요 바람에 스치운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257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